농촌현장, 병들고 고독한 노인들 약값 걱정_적은 돈으로 돈을 절약하는 방법_krvip

농촌현장, 병들고 고독한 노인들 약값 걱정_사업가는 카지노에서 많은 돈을 딴다_krvip

절반이 '농부병'..'기초수급자' 제외 노령연금으로 버텨 자녀들 떠나고 노인들 소외감.상실감에 우울증 전북 정읍시 이평면의 이모(67.여)씨는 요즘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 가는 듯한 느낌이다. 20여년간 지병을 앓던 남편(70)이 1년전 뇌졸중으로 쓰러지면서 농사일과 집안일 모두 그의 몫이 됐기 때문이다. 수백평의 문중답 짓는 일부터 남편의 병수발까지, 이씨 혼자서 도맡아 하고 있다. 남편이 몸져누운 이후론 지척에 있는 마을 경로당 한번 나가지 못했다. 부부가 한 달 노령연금 17만원으로 생계를 잇고는 있지만 남편의 약값과 치료비 를 대는데도 턱없이 부족하다. 그 때문에 이씨는 요즘 돌미나리와 고사리 등을 캐서 시장에 내다 팔고 받은 푼돈으로 근근이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이곳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정읍시 입암면의 박모(76)씨는 10여년전부터 당뇨병을 앓는 아내와 단둘이서 허름한 슬레이트집에서 살고 있다. 아들의 사업 실패와 아내의 건강 때문에 10년전 서울에서 이곳으로 내려와 살고 있지만 사는 게 말이 아니다. 10평 남짓한 집은 한 독지가가 내줬고 가재도구와 생활필수품은 모두 이웃에게서 얻은 것들이다. 부부가 노령연금으로 받는 14만2천원이 한 달 수입의 전부. 당뇨약을 복용하고 매일 인슐린 주사까지 맞는 아내의 치료비를 감당하기란 여간 버겁지 않다. 복지단체에서 지급하는 쌀과 텃밭에서 키우는 야채 등으로 끼니를 때우기 일쑤고, 전기료를 아끼려고 부부가 전기장판에 의지해 유난히 추웠던 지난 겨울을 났다. 박씨는 "20년째 아내는 약을 달고 살지, 나도 이제는 몸을 제대로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쇠약해 졌지, 하루라도 편안한 날이 없다."라면서 "생계를 잇기 위해 일자리라도 얻었으면 하는데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라며 눈시울을 붉혔다. 정읍시 주민생활지원과 소속 사회복지 통합서비스 전문요원인 백명순(44.여)씨는 "이들 두 가구의 궁핍한 생활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라면서 "도시 노인들에 비해 농촌 노인들의 삶은 더욱 힘들어지는 것 같아 안타깝다."라고 말했다. ◇고령인구 18.6%.. 도시의 배 이상 고령화가 국가의 당면 현안으로 떠오르면서 정부 차원에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농촌 노인들 상당수는 여전히 '사각지대'에 가려져 있다. 노인문제는 도시도 예외는 아니지만 농촌 노인들은 낙후한 문화 인프라와 열악한 복지 및 주거 환경으로 훨씬 더 고단한 삶을 꾸려가고 있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농산어촌 인구 비율은 18.6%로, 도시의 7.2%보다 배 이상 높다. 그만큼 농촌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런 가운데 '질병'과 '빈곤', '소외감'은 이들의 노후를 힘들게 하는 최대의 적이다. 농림수산식품부의 2008년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농산어촌 거주 주민 중 '농부병' 증세를 보인 사람이 18.0%, 유사 증세를 보이는 주민이 34.9% 등 절반 이상이 요통과 관절염, 골다골증 등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농촌 노인은 7만7천700여명으로, 전체 농촌인구의 28%를 차지했고 이중 3만1천600여명이 '농부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도 노인정책과 손종성(58) 과장은 "농촌 노인들은 빈곤과 질병은 물론 소외감과 역할상실감 등으로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라면서 "정부가 건강보장과 소득보장, 복지서비스 등을 확대해야한다."라고 말했다. ◇자녀들은 연락두절..'기초생활수급자' 퇴짜 농촌 노인들이 현실에서 겪는 가장 절박한 문제는 '빈곤'이다. 혼자 살든, 부부가 함께 살든 일정액의 수입원이 있어야 하루하루를 버티지만 상당수 노인들은 최소 생계비도 없이 쓸쓸하고 힘든 노년을 맞고 있다. 보통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면 정부로부터 최소 생계비를 지원받게 되는데 호적에 올라있는 자녀의 부양능력이 인정되면 수급대상에서 제외된다. 말이 자식이지 연락이 끊긴 지 오래인 경우도 적지 않고 몇 푼 되지 않는 노령연금까지 오히려 뜯어가는 자식들도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때문에 "늘그막의 자식은 원수다."라는 우스갯소리마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자식이 부모의 노후 생계에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기현상이 벌어지는 것이다. 2007년부터 '노령연금' 제도 시행으로 1인당 매월 수만원씩을 받는 것이 그나마 위안이 되고 있다. 경북 안동시 임동면에서 비닐로 겹겹이 두른 울타리를 집 삼아 사는 김모(76)씨 부부의 경우가 그렇다. 외지에 사는 자식들의 형편이 넉넉지 못해 아무런 도움을 받지 못하는데도 '부양능력'이 인정돼 노부부는 기초생활대상자 지정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김씨 부부는 노령연금 16만원으로 한 달을 버티며 살아가고 있다. 충남 서산시 고북면 김모(88) 할아버지는 아내와 사별하고 20여년째 홀로 살고 있다. 아들ㆍ딸이 있지만 왕래가 끊긴 지 오래다. 그도 기초생활대상자로 지정받지 못한 채 매월 노령연금 9만원과 장애인수당 14만원으로 근근이 생계를 잇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대다수 농촌 노인들은 평생 자식을 뒷바라지하느라 노후 대책과 자신의 몸을 돌보는데 소홀했다."라면서 "생활고에다 몸은 병들고 자식들은 곁을 떠나 고독하게 살아가는 것이 요즘 농촌 노인들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일자리 제공..의료비 지원 확대해야" 농촌 노인들은 일정한 생계비 지원과 일자리를 무엇보다 원하고 있다.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자녀들에 기대지 않고 자립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입이 보장됐으면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한달에 10만원이라도 받을 수 있다면 뭐든지 하겠다는 노인들이 많다. 하루하루 질병은 깊어지고 치료비와 약값은 늘어가는데다 의식주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 비용을 충당할 방법이 절실한 셈이다. 국무총리실 산하 농촌경제연구원에서 30여년간 농촌 노인복지정책을 연구해온 박대식 박사는 "현행 노인복지 제도가 겉으로는 잘 짜여 있는 것 같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사각지대가 의외로 많고 대부분 지원제도도 그림의 떡인 경우가 많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기초생활보장 제도의 경우 부양 의무자 기준을 대폭 완화해서 수혜의 폭을 넓히는 등 제도손질이 절실하다."라고 지적했다. 박 박사는 또 "과거보다 복지예산이 줄어든 탓인지 일선에서는 각종 지원제도가 피부에 와 닿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다."라면서 "특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치료비와 약값 등에 대한 적극적인 보조가 이뤄져야 노후의 고통을 다소 덜 수 있을 것"이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