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노인 자살, ‘공동생활’이 대안_온라인 바카라 양방_krvip

농촌 노인 자살, ‘공동생활’이 대안_가장 큰 포커 아이콘_krvip

<앵커 멘트> 갈수록 느는 노인자살, 도시보다 농촌지역의 상황이 더 심각하다고 합니다. 노인들의 극단적인 선택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공동 생활'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류성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전남 함평의 농촌 마을에 사는 73살 김 모 할아버지는 지난달 스스로 목숨을 끊었습니다. 조손 가정의 가장으로 손자 손녀들 양육 걱정에 우울증이 깊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터뷰>김민철 (경장/함평경찰서 강력팀):"손자하고 손녀들 키우면서 우울증이 오신 것 같아요." 지난 2008년 우리나라 노인 자살자 수는 4천여 명, 20년 전에 비해 5배 가량 늘었습니다. 특히 농촌지역의 노인 자살률은 더 심각합니다. 경기도의 경우, 대도시와 농촌지역의 자살률을 비교해보니, 농촌지역 노인 자살률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노인 복지관이 있는 자치단체에선 예외 없이 노인 자살률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인터뷰> 엄주희(69세/노인복지관 회원):"노래 부르다 보면 다 잊어버리죠. 재미있고, 친구들하고 만나서 좋고..." 전북 김제에서는 홀로 사는 노인들이 모여 같이 밥을 먹고 잠을 자는 그룹홈이 78개 마을에서 운영중입니다. 그룹홈은 기존에 있는 마을회관이나 경로당 건물을 사용하고 시는 전기료나 난방비 등 관리비를 지원해 운영됩니다. 기거하는 노인만 8백여 명. 적어도 그룹홈 생활을 하다가 자살한 노인은 지금까지 없습니다. <인터뷰>윤길임(82세/그룹 홈 생활):"여기서 모여서 친구들하고 웃고하니까 혼자 있으면 외롭고 이것저것 생각이 나는데, 슬프기도 하는데 그것이 없어..." 전문가들은 함께 먹고 자고, 웃고 떠들며 기쁨과 슬픔을 나누는 공동체 생활이 노인 자살을 줄일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인터뷰>전성남 (박사/조선대학교 노인복지센터):"마을 중심의 공동체라든가 공동체가 긴밀하게 돼있었다면 그런 것들을 기반으로 해서 가족관계를 향상할 수 있는..." 고령화시대로 갈수록 늘고 있는 농촌 노인들의 자살, 공동체 생활이 한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성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