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6.4%…미국·일본보다 낮아”_상파울루 부대표로 당선된 사람_krvip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 26.4%…미국·일본보다 낮아”_아만다 누네스가 승리했다_krvip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응급처치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CPR) 시행률이 미국, 영국 등 주요국보다는 한참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20년 26.4%로, 영국(70%)과 미국(40.2%) 등보다 크게 낮았습니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병원 도착 전에 ‘근무 중인 구급대원 및 의료인’을 제외한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비율을 뜻합니다.

남 의원은 국내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2016년 16.8%에서 지난해 26.4%로 꾸준히 증가했지만, 여젼히 일본의 2013~2015년(50.2%)과 비교해도 1/2 수준에 그친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유행 이후로는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수강생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수강생은 2017년 66만 5,000명에서 2019년 67만 3,000명으로 증가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에는 14만 8,000명, 2021년 18만 6,000명으로 감소했습니다.

남 의원은 “현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고, 자동심장충격기(AED) 보급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면서 “CPR교육용 마네킹, 교육용 AED 보급을 확대하고, 1인당 지원단가도 매년 5,000원으로 동결하고 있는데 상향 조정화여 교육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복지부의 2023년 예산안에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비 지원 예산은 올해(18억 원)보다 8.3% 감액된 16억 5천만 원으로 편성됐다”며 “응급상황 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가능하도록 이를 뒷받침할 적정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