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높을수록 결혼 빨리 한다”_베팅 플레이어의 판단_krvip

“임금 높을수록 결혼 빨리 한다”_사실 빙고_krvip

고용정보원 '고용 질이 혼인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고용의 질이 높을수록 결혼연령이 낮아진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의 박가열·천영민 부연구위원은 '대졸자 고용의 질이 혼인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종사자 규모, 정규직 여부, 월평균 임금 등 고용의 질이 높을수록 미혼에서 탈출하는 경향이 높았다고 21일 밝혔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에 근무할수록, 비정규직보다는 정규직일수록, 또 임금을 많이 받을수록 미혼 상태를 벗어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2005년 대학을 졸업한 미혼 취업자 1만3천834명을 대상으로 3년간 추적ㆍ분석한 결과다. 고용의 질을 가늠하는 세 가지 변수 중 임금이 결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진은 파악했다. 평균보다 높은 임금을 받는 고임금 집단이 취업 후 3년 이내에 결혼한 비율은 24.7%로 같은 기간 저임금 집단의 혼인율 13.1%와 11.6%포인트나 차이가 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취업 집단의 격차도 마찬가지였다. 첫 취업연도에 300인 이상 대기업에 다닌다고 응답한 미혼자의 23.3%가 3년차 이전에 혼인했지만 300인 미만 기업에 다닌다고 응답한 미혼자의 결혼비율은 19.6%에 머물러 6.4%포인트 격차가 났다. 취업 첫해에 정규직이라고 응답한 미혼자의 19.3%는 3년차 이전에 혼인을 한 반면, 같은 기간 비정규직이라고 응답한 미혼자 중에는 13.3%만 결혼한 것으로 나타나 6%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밖에 취업 후 3년 이내에 전문대 졸업자(12.9%)와 4년제 대학 졸업자(21.8%)의 혼인율 격차는 8.8%포인트에 달했다. 연구진은 "고용의 질이 나아질수록 미혼에서 탈출하는 경향이 높다"며 "기업규모와 고용형태에 따른 사회경제적 양극화를 줄이기 위해 대·중소기업 상생과 비정규직 차별시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