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병 상시화·비대면 활동↑…산업부,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간담회_네온 돈 벌어_krvip

감염병 상시화·비대면 활동↑…산업부, ‘포스트 코로나19’ 대응 간담회_사진 로드리고 폭스 카지노_krvip

코로나19 이후 상황을 의미하는 '포스트 코로나19'를 대비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논의가 시작됐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오늘)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 대화 및 산업·위기 대응반' 1차 회의를 열고, 포스트 코로나19 산업전략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는 산업부장관과 농식품부·환경부·중기부 등 12개 관계부처, 산‧학‧연 전문가 등 모두 2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산업부는 코로나19 이후 상황을 크게 ▲ 보건·환경, ▲ 경제활동, ▲ 기업경영, ▲ 사회가치, ▲ 교역환경 등 5가지 분야로 분류했습니다.

우선, 보건·환경 분야에서 감염병이 상시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각국이 방역시스템을 보강하고 백신과 치료제 개발 경쟁에 나설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 감염병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타격 경험에 따라 선진국과 글로벌 기업들이 공급망을 신흥국에서 각국 현지 중심으로 재편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내놨습니다.

이어 산업부는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활동의 효용성이 확인돼 경제·산업·교육 등 전반에서 비대면 활동이 매우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은 감염병의 세계적 대유행에 대비해 비상계획 수립을 일상화하고, 여유 재고·인력 유지 비용을 감수함에 따라 저비용 효율중심주의 기업경영은 퇴조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도 내놨습니다.

이에따라 산업부는 보건·환경 분야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해 투명하고 안전한 첨단제품 생산기지를 구축하고, 감염병 발생 시에도 생산 차질을 최소화하는 작업방식을 확산해 산업 현장의 복원력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경제활동 분야에서는 5세대 이동통신(5G), 디지털 인프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온라인 유통·교육 등 비대면 산업의 선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자동차·철강 등 코로나19로 인한 타격이 큰 주력 산업은 사업을 재편하는 동시에 신산업 분야로의 진출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산업부는 우리나라의 방역 모범국 위상을 활용해 보호무역 타파와 관련한 글로벌 논의를 주도할 수 있다고 보고, 기업 필수인력 예외 입국 표준모델 선도, 무역·투자에 관한 추가적 장벽 설정 중단 등을 글로벌 양자·다자협의체를 통해 제안하겠다는 방침도 정했습니다.

한편, 산업부는 올해 하반기에는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산업 질서의 변화에 대한 종합적 전략인 '포스트 코로나 산업전략(가칭)'을 내놓을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