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채용시장에도 ‘스펙’은 중요했다”_소득 슬롯_krvip

“올 상반기 채용시장에도 ‘스펙’은 중요했다”_돈 가치가 없는 온라인 포커 앱_krvip

구직자 83% "기업 아직 '스펙' 중시한다" 스펙(Specification)이라는 단어가 우리나라에서 쓰인 지 올해까지 햇수로 꼭 10년이 됐다. 국립국어원은 '2004년 신어' 보고서에서 스펙이라는 신조어가 경제불황으로 취업난이 심각해진 우리 사회의 흐름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04년 상반기(1월∼5월) 취업자는 1억1천172만4천명에서 2013년 1억2천305만3천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10년 전보다 우리나라 취업시장이 호전되긴 했지만 스펙 쌓기에 목메는 문화는 여전하다. 기업들이 새 정부 방침에 따라 스펙을 고려하지 않고 신입사원을 뽑겠다고 잇따라 선언했지만 구직자의 피부에 와 닿는 변화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합뉴스가 취업포털 사람인에 의뢰해 지난 5월 말 구직자 9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83.2%에 해당하는 734명은 올해 상반기 채용 과정에서 기업이 여전히 스펙을 따졌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기업이 스펙을 중시했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필수는 아니어도 스펙을 우대하고 있어서'(60.5%, 복수응답)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필수자격조건이 까다로운 기업이 많아서'(35.7%), '공개된 합격자 스펙이 대체로 높아서'(33.0%), '지원서류에 스펙 기재란이 많아서'(31.8%)라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스펙이 영향을 많이 끼쳤다고 느낀 전형은 입사지원·서류전형이라고 답한 구직자가 87.1%로 실무면접(20.7%) 또는 임원면접(9.4%)이라고 답한 구직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았다. 설문에 응한 구직자 10명 가운데 8명(81.9%)은 기업이 스펙을 고려하지 않는 신입사원 채용 방식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 이유로는 '직무능력 중심으로 경쟁할 수 있어서'(48.2%, 복수응답), '스펙은 실제 역량과 상관없는 것 같아서(41.6%), '현재 스펙 경쟁이 과열된 것 같아서'(35.7%), '차별 없는 공정한 경쟁이 가능해져서'(33.4%) 등을 꼽았다. 반드시 타파돼야 한다고 여겨지는 스펙 1위는 '학벌'(47.7%, 복수응답)이었으며, '연령제한'(43.1%), '공인어학성적'(42.9%), '학력'(38.5%), '어학연수 등 해외 경험(30.7%) 등이 뒤따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