② 사무실 공기 관리 기준 ‘허술’ _전문 카지노 게임 테이블_krvip

② 사무실 공기 관리 기준 ‘허술’ _메가세나에서 슈트가 승리_krvip

<앵커 멘트> 사무실 실내공기가 이렇게 된 것은 관련 법규나 당국의 점검이 다 허술하기 때문입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오세균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20여 명의 직원이 근무하는 한 온라인 여행사 사무실입니다. 이 사무실은 지은지 오래된 건물에 입주해 있어 환기설비가 따로 없습니다. <인터뷰>이기열(빌딩 시설담당): "가끔 열어서도 환기를 시키고요./1년에 그전에는 두번씩 측정을 했었는데 요즘은 안하지만..." 그런데 노동부는 이렇게 환기시설이 없는 사무실은 사무실이라고 보지 않습니다. 현행 산업보건기준에 따르면 중앙관리방식의 공기정화설비 등을 갖춘 공간만을 사무실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자연히 노동부의 사무실 실내공기질 관리 대상이 아닙니다. 관리대상 사무실도 4가지 검사 항목만 있을 뿐, 환경부가 정한 실내공간 오염 물질 10가지 가운데 발암성 물질 등은 대부분 빠졌습니다. <인터뷰>손종렬 교수(고려대 보건과학대): "최근에 증개축이라든지 리모델링한 건물인경우에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질이랄지 오존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관리할 필요성이 있구요." 이마저도 측정 의무가 없어 관리자체가 아예 이뤄지지 않고 있지만 노동부는 오히려 작업장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기준완화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병옥(노동부 산업보건환경팀장): "일반 작업장 기준과 비교해서 볼때 조금 과도한 규제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용시설에 대한 관리주체 뿐만아니라 권고 기준도 각각 달라 체계적인 관리가 미흡한 실정입니다. 한 건물에 입주했지만 사무실이면 노동부, 병원은 환경부, 공연장은 보건복지부, 지하 주차장은 건설교통부 등으로 나눠 관리되고 있습니다. 공기질이 악화돼가는 사무실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있습니다. KBS 뉴스 오세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