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제철 배당금으로 강제동원 피해자에 배상”…“미쓰비시도 31차례 논의”_카지노 중심 아이디어_krvip

“일본제철 배당금으로 강제동원 피해자에 배상”…“미쓰비시도 31차례 논의”_포커 움직임의 확률_krvip

[앵커]

강제동원 배상 소송의 피고기업인 일본제철의 과거 주주총회에서 피해 배상안이 구체적으로 제기됐던 사실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기업들은 과거 여러 차례 협상 테이블에 앉기도 했었는데, 결국 직접적인 배상 가능성은 희박해 보입니다.

일본 외무성은 여전히 배상금 지급 요구를 거부했습니다.

도쿄 지종익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강제동원 피해자 4명에게 각각 1억 원씩 배상하라는 한국 대법원 판결을 받은 일본제철의 2021년 주주총회 보고서입니다.

주식 한 주당 10엔씩 주주에게 배당한다는 회사 측 안건에 대해 주당 10엔을 5엔으로 줄여 그 차액을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배상하자는 구체적인 제안이 나옵니다.

일본 내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 회원이 직접 피고 기업의 주주가 돼 배상을 제안했던 겁니다.

[야노 히데키/강제동원 피해자 지원단체 사무국장 : "주주들의 이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주주총회까지 나가서 해결해야 한다고 반복해서 제안해 왔습니다."]

안건은 부결됐지만 일본제철은 주주총회 보고서에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보상'이란 표현을 썼습니다.

지난 2012년 주주총회에서도 배상 판결이 확정될 경우, "판결은 따를 수밖에 없다"고 밝혔습니다.

'다 끝난 일'이라는 일본 정부의 지금의 태도와는 명백히 달랐던 겁니다.

또 다른 피고기업 미쓰비시도 2010년부터 31차례나 협상 테이블에 직접 나와 배상 방식 등을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아베 정권 이후 일본 정부가 기업들의 협상을 차단하며 배상 논의는 없던 일이 됐습니다.

일본 외무성은 피고 기업들이 배상금을 지급하도록 정부가 촉구해야 한다는 시민단체 요구에 한.일 관계가 2018년 대법원 판결 이전으로 돌아가기만 하면 된다고 답했습니다.

[야노 히데키 : "자신들로선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보다는 일·한 관계가 2018년 이전으로 돌아가면 된다고..."]

피고기업들이 게이단렌 등 경제단체를 통한 이른바 미래청년기금에 참여할 거란 전망도 나오지만 사죄나 배상과는 무관한 만큼 여전히 해결된 건 없다는 비판이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촬영:안병욱/영상편집:이웅/그래픽:김지훈 채상우 이경민/자료조사:조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