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두달째 방역 대응 허술_해킹 광산 스타 내기_krvip

구제역 두달째 방역 대응 허술_주소 쿠리티바나 포커 리그_krvip

<앵커 멘트>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생한 지 두 달째를 맞고 있는데요 역대 최악의 막대한 피해를 일으킨 이번 구제역은 인재(人災)라는 지적이 많습니다. 방역 당국의 대책에 어떤 문제점이 있었는지 경제부 윤 상 기자와 알아봅니다. <질문> 윤 기자 우선 지금까지 피해가 어느정도나 됩니까? <답변> 네 구제역은 지금까지 호남과 제주를 제외한 8개 시도에 다 퍼졌습니다. 사실상 두달 동안 전국으로 확산된 겁니다. 이렇게 구제역이 확산되고 장기화 되면서 피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매몰처분된 가축은 돼지 2백 67만여 마리, 소 14만여 마리 등 2백 82만 마리를 넘었습니다. 매몰 가축 규모는 곧 3백만 마리를 넘어설 것으로 보입니다. 피해 액수도 보상금같은 직접 비용과 방역 등 간접 비용을 합쳐 1조 7천억 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질문> 이렇게 구제역이 확산된데는 정부가 백신 접종의 적절한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답변> 네 지난해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으로 확인됐는데요 그런데 첫 백신 접종은 그로부터 26일이나 지난, 그러니까 지난해 12월 25일에야 비로소 시작됐습니다. 그것도 백신이 부족해 소에게만 이뤄졌습니다. 그동안 구제역은 경북과 경기, 강원, 인천 등 4개 시.도에서 57곳으로 확산됐습니다. 그래서 방역 당국이 접종 시기를 놓친 것 아니냐, 너무 늦게 접종을 시작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이 백신 접종이 돼지를 포함해 전국으로 확대된 것은 지난 1월 12일에 결정됐는데 첫 백신 접종 뒤 18일이 지나서야 이뤄진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 시기나 방법 등을 정하는 매뉴얼이 없어 빚어졌다고 말합니다. 또 지난해 12월 21일, 대통령이 과거 대책으론 안된다고 말하자 농식품부가 다음날 바로 백신 접종 방침을 결정한 것도 주무부처로 주도적 역할을 못했다는 지적입니다. 우희종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의 말을 들어보시죠 <인터뷰>우희종(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 질병은 상황이 매우 급변하는 것... 그런데 신속한 대처라든지 각 상황에 대한 유연한 대비책이 전혀 없었다는 것이죠" <질문> 이부분에 대해선 주무부처인 농식품부도 할 말이 있을 것 같은데요? <답변> 네 농식품부는 이런 비판에 대해 좀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선 네차례의 구제역이 발생했는데요 모두 매몰 처분 정책으로 성공리에 방역했습니다.. 농식품부의 입장을 들어보시죠 <인터뷰>이상길(농수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 "12월 중순까지는 구제역이 안동 등 경북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기존의 매몰 정책으로 구제역 차단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을 했고요.또 백신 수급 상황 등 이런 것들을 검토해서 결정한 일입니다." <질문> 그렇다고 하지만 현재의 방역시스템으론 구제역이 연례 행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나오는데 어떻습니까? <답변> 네 그래서 현재의 방역 시스템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고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그동안 문제점을 살펴보면 우선 구제역 의심 증상이 발견되면 즉각 초소가 설치돼 방역이 이뤄져야 하지만 이동 통제조차 잘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매몰 작업도 주먹구구식이었습니다. 인원 부족으로 작업이 2-3일씩 늦어진 건 다반사였고 곳곳에서 산 채로 묻기도 했습니다. 이와 함께 매몰에 참여한 인원과 중장비에 대한 소독은 형식적이었고, 매몰작업에 쓴 방역 도구들은 소각했어야 하지만 그대로 도로변에 방치됐습니다. 방역에 대한 전국민적 각성과 현실에 뒤떨어진 방역시스템의 개선 없이는 제2, 제3의 가축 전염병 창궐을 불러 올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