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대응 무방비…수출 타격 우려 _스카일런은 돈을 벌어_krvip

국내 기업 대응 무방비…수출 타격 우려 _돈 버는 방법 아이디어_krvip

⊙앵커: 지구 전체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협약이라고 할 수 있겠죠. ⊙앵커: 그렇습니다. 우리나라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살펴봐도 이미 세계 10위권 안에 들어 있거든요. ⊙앵커: 네, 그렇습니다. 화면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지난 1990년에 우리나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보면 2억톤 정도가 넘었는데 올해에는 그 두 배 이상인 5억톤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 추세대로 가면 오는 2020년에는 7억톤을 넘어설 전망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 산업계가 감당해야 될 비용이 지금 만만치 않습니다. ⊙앵커: 바로 그게 문제인데요. 우리나라가 2020년에 온실가스를 10%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계 전반에 친환경 체제를 구축하는 게 우선인데요, 그 비용이 최대 28조원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비용을 한번 자세히 따져보면 지난 2003년을 기준으로 봤을 때 국내총생산 GDP의 4%가 넘는 엄청난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당장 발등의 불이 되고 있는 교토의정서에 대해서 우리 산업계, 또 정부의 대응 상황 알아보겠습니다. 한재호 기자입니다. ⊙기자: 벙커C유와 천연가스를 사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이 화력발전소에서는 지난해 7100여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했습니다. 천연가스만 쓰면 배출량이 20% 가량 줄지만 값이 비싸 채산성이 떨어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장치도 아직 없어 가스를 대부분 공기중으로 내보냅니다. ⊙윤태주(울산화력본부 경영지원실장): CO2 흡수설비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당장 채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기자: 이렇게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산업구조 때문에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 규모는 세계 9위입니다. 그러나 기업의 대응은 사실상 무방비 상태입니다. 에너지를 많이 쓰는 제조업체 11만개 가운데 현재 자체적으로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고 있는 곳은 1000곳이 약간 넘습니다. 전체의 1%도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이 많은 정유와 철강, 발전, 자동차, 그리고 시멘트, 제지 등 주력 산업들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됩니다. 게다가 우리 상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교토의정서 이행 국가들의 감축기준에 맞춰야만 합니다. ⊙오대균(에너지관리공단 기후변화대책팀장): 정부는 정책적 발판, 그리고 시기에 맞는 정책을 구상해서 발표함으로써 기업들이 이행할 수 있도록 그렇게 마련해 줘야 될 것입니다. ⊙기자: 우리나라는 오는 2013년부터 감축 의무를 지게 될 전망이지만 앞으로 4, 5년 내에 대책을 마련하지 않는다면 발등의 불이 될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합니다. KBS뉴스 한재호입니다. ⊙앵커: 보신 대로 다소 늦은 감이 있기는 하지만 정부도 친환경산업 육성을 위해서 21조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기후협약 대열에 동참하기로 했는데요. 문제는 이 교토의정서가 출발부터 삐걱거려서 절름발이 협약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입니다. ⊙앵커: 그렇습니다. 세계 이산화탄소의 30%를 배출하고 있는 지구온난화의 주범이죠. 미국, 그리고 2위 배출국인 중국이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 협약에 불참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앵커: 국익과 관련된 중대사안일수록 역시 힘의 논리가 작용한다는 것을 또 다시 보여주고 있는 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