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시스템 혁신 문제 _카니발 특별 차크리냐 카지노_krvip

국가시스템 혁신 문제 _러시아 마권업자_krvip

<앵커 멘트>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를 맞아 선진국 도약의 조건을 알아보는 연속기획 시간입니다. 우리나라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의 위상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가시스템을 혁신해 질적 성장도 이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이 국가 시스템 혁신문제를 짚어봅니다. 김석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휴대전화 등 모바일기기용 에이엠올레드 세계 최초 양산. 세계 최대 크기인 79센티미터 에이엠올레드 최초 개발. 이런 기술적 쾌거를 통해 한국의 에이엠올레드 산업은 일본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을 제치고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성장했습니다. <인터뷰>유의진(성SDI 상무) : "여러 가지 우려를 많이 했는데, 이 에이엠올레드, 꿈의 디스플레이는 기술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시장 아니겠느냐 이런 믿음과 확신이 있었죠. 그래서 투자를 결정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에이엠올레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장비와 부품, 소재의 국산화 비율은 50% 수준. 대기업의 '완제품' 경쟁력에 비해 이를 뒷받침할 중소기업의 부품, 소재산업이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얘깁니다. 이렇다 보니 애써 벌어들인 흑자가 고스란히 일본 등 해외로 유출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세종 (박사/중기연구원) : "우리 수출이 늘어나면 늘어날수록 일본으로부터 들어오는 부품, 소재가 늘어나기 때문에, 그쪽의 무역적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거죠." 대학의 기초 연구와 정부 지원 역시 미흡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 국내에 디스플레이 관련 민간연구소는 삼성SDI가 백30억 원을 지원해 만든 서울대 디스플레이센터 한 곳뿐. 불과 몇 년 새 LCD산업에서 한국을 턱밑까지 추격해온 대만의 경우와는 사뭇 대조적입니다. <인터뷰>이창희(서울대 교수) : "첫째는 정부의 지원, 두 번째는 아주 긴밀한 산학협력연구, 특히 대학과 기업체들이 아주 체계적으로 기초연구에서부터 응용연구까지우리에 비해서는 잘하고 있다고 판단되고." 미래의 국가시스템 경쟁력은 이렇게 개인과 기업, 정부와 대학 등 각 경제 주체가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네트워크' 경쟁력에서 옵니다. 하지만 세계 10위의 경제대국이라는 우리의 '네트워크' 경쟁력은 OECD 국가 가운데서도 하위권입니다.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제도, 규범 등 사회적 자산도 선진국 진입의 필수조건이지만, 우리의 경우는 인적, 물적 자원보다 더 취약한 것이 문젭니다. <인터뷰>김득갑(삼성경제연구소) : "사회구성원 간에 서로 믿고 신뢰할 수 있는 토대가 아직은 약하죠. 이런 것들이 해소돼야만 경제 주체 간에 서로 믿고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경제가 역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죠."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시장개방과 후발국가들의 매서운 추격 등 급변하는 대외여건 속에서 선진국 진입의 문턱에 선 한국.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의 위상에 걸맞은 질적 성장을 위해서는 사회 각 부문의 혁신을 조화시켜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해법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