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계층간 정보 격차 완화 _온라인 베팅을 이용한 베츠볼라_krvip

국내 계층간 정보 격차 완화 _크래셔들에게_krvip

국내 계층간 정보격차가 작년에 비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지난 6월부터 전국적으로 실시한 '2005 정보격차지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종합 격차지수'는 46.7점으로 작년의 55점에서 8.3점이 감소했다. '종합 격차지수'는 접근ㆍ역량ㆍ활용 부문별 정보격차 수준의 종합 측정요약치다. 작년부터 조사가 시작된 정보격차지수는 전체 국민 대비 취약계층(장애인, 장노년층, 저소득층, 농어민)의 정보화 수준을 측정, 전체 국민과 취약계층간 정보격차 지수를 산출한 것으로 100점에 가까울수록 격차가 큰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 정통부는 접근ㆍ역량ㆍ활용 부문을 포괄하는 전체 국민의 종합적 정보화 수준을 100%로 할 때 전체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지난해 45%에서 올해 53.3%로 8.3% 상승한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접근 격차지수는 지난해 36.3점에서 올해 29점으로 7.3점 감소했으며 역량 격차지수는 72.5점에서 65.8점으로 6.7점 줄어들었다. 양적활용 격차지수의 경우 65.8점에서 57.8점으로 8점이 감소했으며 질적활용 격차지수는 70.4점에서 62.3점으로 8.1점이 낮아졌다. 정통부는 접근ㆍ역량ㆍ활용 부문별 격차지수를 비교했을 때 접근 부문에 비해 역량, 양적 활용, 질적 활용부문의 격차지수가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정보기기의 접근 및 보유여부와 연관된 접근 격차보다 정보 활용능력 및 활용유형과 연관된 활용 격차가 더 크다고 분석했다. 또한 개인의 정보화 수준에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개인의 정보화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는 학력ㆍ직업ㆍ가구소득ㆍ성별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정통부는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을 통해 접근ㆍ역량ㆍ활용 부문을 포괄하는 종합 정보화 수준을 기준으로 했을 때 전체 국민 대비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을 올해의 53.3%에서 2010년 80% 수준으로 높이는 대신 정보격차지수를 46.7점에서 20점으로 감소시킬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