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아닌 곳 거주 가구 40% 이상, 고시원에 거주”_여자 월드컵 베팅_krvip

“주택 아닌 곳 거주 가구 40% 이상, 고시원에 거주”_네트워크 카드에는 어떤 슬롯이 있나요_krvip

오피스텔과 주택이 아닌 곳에 거주하는 가구의 40% 이상은 고시원에 사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오늘(24일) 통계청과 토지주택연구원, 한국 도시연구소가 지난해 5월부터 올해 6월까지 수행한 '주택 이외의 거처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오피스텔이 아닌 비주택에 거주하는 이는 수도권 19만 가구, 지방 18만 가구 등 37만 가구로 추정되는데, 연구진은 이들 가운데 표본 6천809가구에 대한 면접조사를 벌였습니다.

그 결과 37만 가구 중 고시원 거주자가 15만 2천 명(41.0%)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고시원 외에 거주지는 일터의 일부 공간과 다중이용업소가 14만 4천 명(39.0%), 숙박업소의 객실은 3만 명(8.2%), 판잣집·비닐하우스 7천 명(1.8%) 등으로 분석됩니다.

이들 중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는 12만 3천 가구(40.7%)입니다.

1인 가구는 71.9%(26만 6천 가구)에 달하며 평균 가구원 수는 1.4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는 2015년 전국 일반가구 평균 가구원 수 2.5명에 비해 현저히 적은 수입니다.

연령대는 60세 이상(28.4%), 30세 미만(23.9%)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가 일하는 비율(79.2%)은 높지만, 월평균 소득은 200만 원 미만 비율이 51.3%에 달했습니다.

거주한 기간은 1년 미만 비율이 27.1%로 가장 높지만, 20년 이상 비율도 10.7%로 낮지 않았습니다.

최저주거기준(1인 기준 14㎡)에 미달하는 가구의 비율은 절반인 49.2%에 달했습니다. 현재 거처를 '쪽방'으로 인식하는 가구의 비율은 20.1%(7만 가구)였습니다.

주거 생활의 어려움을 꼽으라는 질문에 '열악한 주거환경'(42.3%), '열악한 시설'(40.6%), '외로움·고립감'(27.8%), '주거비부담'(26.5%) 순으로 답했습니다.

평균 월세는 32만 8천 원으로 고시원·고시텔(33만 4천 원)의 월세 부담이 가장 크고, 판잣집·비닐하우스(22만 2천 원)의 월세가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들 중 공공지원 주거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는 비율은 8.0%에 불과했습니다.

주거복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못한 이유로는 '프로그램이 있는 것을 몰라서'(28.3%)와 '자격 기준이 안 될 것 같아서'(28.2%) 등의 순서로 답했습니다.

가장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을 뽑으라는 항목에는 '필요한 주거복지 프로그램이 없다'는 응답이 47.3%로 가장 많았습니다. 공공임대 주택은 15.2%, 월세보조 8.6%, 전세자금대출 7.1% 등 순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