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 부작용 조사 믿을 수 있나?_플레이보이 포커 토끼 몰리_krvip

구제역 백신 부작용 조사 믿을 수 있나?_포커 다운로드_krvip

정부는 22일 구제역 백신의 직접적인 부작용 사례가 없었다고 발표했다. 2단계에 걸친 축산농가 현장조사와 축산과학원의 사육가축 비교평가, 외국자료 분석 등을 통해 이런 결론을 내렸다. 정부는 외국에서도 백신 접종을 둘러싼 부작용 사례가 신고됐으나 확증할 만한 근거가 없었다며 조사 결과를 자신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가 된 가축을 조사한 시기가 너무 늦었고, 표본 대상이 적어 정부 발표를 신뢰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 신고한 2천200농가 중 30농가만 조사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의 결론은 백신으로 인한 폐사, 유산, 사산 등 직접적인 부작용이 확증된 사례가 없었다는 것이다.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려고 가축을 모는 과정이나 주사를 놓을 때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스트레스가 생긴 점은 인정했다. 실제로 소ㆍ돼지에 스트레스 증상이 나타난 것과 백신 접종 시기는 대부분 일치했다. 농가들은 이런 사실을 근거로 폐사나 유ㆍ사산의 원인을 백신 접종으로 지목했다는 게 검사본부의 설명이다. 축산과학원의 백신접종 전·후 폐사율 등 비교 평가와 외국 문헌 조사에서도 백신의 위험성은 발견하지 못했다. 그러나 농가들이 검사본부의 발표를 액면 그대로 믿을지는 의문이다. 1차 현장 조사에서 2천207 농가가 백신접종 2주 안에 부작용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차 조사는 한우, 젖소, 돼지 등 가축별로 10 농가씩 모두 30 농가를 선정해 이뤄졌다. 표본이 너무 적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작년 12월 25일 이후 올해 2월 초까지 경북에서 소, 돼지 등에 구제역 접종을 한 후 1천107마리가 죽거나 유ㆍ사산했다. 충북은 244마리였다. 경기에서도 118건의 의심 신고가 들어왔다. 검역검사본부는 지자체나 대규모 농가에서 질병 진단 의뢰를 하지 않아 1차 조사 농가 중 부작용이 심하다고 주장한 30 농가만 2차 조사를 했다고 해명했다. 많은 수의 표본을 조사하려면 수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백신 접종 시기 이전에 조사 결과를 발표하지 못할 수 있는 점도 고려했다고 했다. 검역검사본부 주이석 부장은 "1차 조사 대상 중 아주 심하다고 말한 사례에 대해 접종 시기와 백신 온도, 접종 후 (이상) 반응 내용과 가축 수 등 15개 항목에 걸쳐 상당히 구체적으로 조사했다"고 밝혔다. 주 부장은 "질병 있는 가축 한두 마리가 접종 후 폐사할 수 있으나 구제역이 완전히 사라지기 전까지는 몇 년 동안 어떤 상황이라도 백신을 모두 접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외국서도 부작용 신고 외국 농가에서도 백신 접종과 관련한 부작용 주장이 나온 점도 이번 조사의 신뢰성에 의문이 생기게 하는 대목이다. 국내 백신 공급업체인 인터베트가 2006년 11월부터 올해 11월까지 1억 마리 분의 구제역 백신을 세계 각국에 공급, 돼지에서 과민반응과 일부 폐사 등 부작용 사례가 6건 신고됐다. 신고 건수가 미미하기는 하지만 외국에서도 비슷한 부작용 신고가 있었던 만큼 표본 조사 대상을 확대하고 조사도 더욱 정밀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송훈석 의원은 "연초에 폐사나 유·사산한 가축을 지금 조사해서 얼마나 정확히 파악했는지 알 수 없다"라며 "표본 수도 적어 농민들이 믿기 어려워 보인다"며 이번 발표에 의문을 제시했다. 1, 2단계 현장조사가 11월 7~30일 사이에 이뤄져 조사 대상 농가들이 작년 12월에서 올해 2월 사이에 이뤄진 백신 접종 상황 등을 정확히 기억 못 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송 의원은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외국 농가들처럼 구제역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해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채 접종했다고 거짓 보고하는 일이 없도록 국내 축산 농가들을 안심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주 부장은 "외국의 부작용 주장도 확증할 만한 근거가 없어 소송이 제기되지 않았다"며 "일제 접종이 이뤄진 올해 1~2월과 달리 안정기에 접어든 후로는 백신 접종 부작용 신고가 없었지만, 신고가 있으면 지속적으로 정밀조사를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