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쓰레기 골치_참여하고 승리하세요_krvip

가전제품 쓰레기 골치_포커 주문 목록_krvip

가정에서 쓰다 버린 냉장고나 세탁기 등 덩치 큰 가전제품들이 새로운 공해거리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폐 가전제품은 갈수록 쌓여만 가는데 이를 수거해야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과 대책이 제대로 마련되질 않아서 주택가나 쓰레기 야적장에 그대로 방치돼 있는 실정입니다. 김형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형근 기자 :

서울 목동아파트 단지입니다. 관리사무소 뒤에는 이처럼 버려진 가전제품들이 수북이 쌓여 있습니다. 예년 같으면 한두 개가 고작이지만 10여 개가 넘습니다. 주택가도 마찬가지입니다. 골목이나 빈터마다 가전제품들이 보기 흉하게 쌓여 있습니다. 더욱 골머리를 앓는 곳은 난지도 야적장입니다. 매일 밀려드는 가전제품 쓰레기가 산더미같이 쌓여 있습니다.


난지도 주민 :

그런데 지금 저기까지 잔뜩 찼지요.

“어느 정도 는 거에요. 그러면요?”

“글쎄요, 세배, 두배, 세배 그 정도로 늘은 것 같아요.”


김형근 기자 :

이처럼 쏟아져 나오는 가전제품 쓰레기는 서울시만도 하루 동안 150여 톤에 이릅니다. 예년보다 무려 40톤 가량이나 늘어나 쓰레기 차량을 동원하기에도 벅찹니다. 이처럼 폐 가전제품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최근 과소비 붐이 다시 일면서 가전제품 판매량이 크게 는데다 점차 소모품으로 인식되면서 쓸 만한 것도 마구 내다버리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정부의 폐기물 예치금 제도도 겉돌고 있습니다. 생산량만큼 환경처에 일정한 예치금을 낸 뒤 폐기물을 회수하는 양에 따라 돈을 찾아가는 제도지만 올 상반기 예치금 17억 원 가운데 찾아간 돈은 백여만 원에 불과합니다. 결국 궁여지책으로 다른 방법이 강구되고 있습니다.


안재경 (서울시 청소사업본부 작업과장) :

현재는 우리시에서 무상 수거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내년부터는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2천원에서 4천원까지의 수거 수수료를 부과하고 전량 회수할 계획입니다.


김형근 기자 :

그러나 이 경우도 최근 극성을 부리고 있는 불법 폐차처럼 요금을 물지 않기 위해 몰래 내다버리는 행위를 조장할 가능성이 커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KBS뉴스 김형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