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상징으로 거듭나는 경복궁 _아시르 구르가츠 카지노_krvip

국가상징으로 거듭나는 경복궁 _빌린 돈은 깎지 마라_krvip

경복궁이 조선왕조를 넘어 대한민국의 상징으로 거듭난다. 오는 8월15일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경축식이 이곳에서 개최되고 정부 차원에서 국가상징물로 경복궁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광복절과 건국 기념식이 경복궁에서 개최되는 것은 단순한 행사 차원을 넘어선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경복궁을 이런 국가 기념일 장소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는 그동안 간헐적으로 제기됐고, 특히 지난 참여정부에서도 이런 논의가 진지하게 검토되기는 했으나 성사되지는 못했다. 나아가 4일 청와대가 발표한 '국가얼굴 '국가상징거리' 조성 기본구상(안)'은 경복궁의 위치를 국가차원에서 대한민국의 '얼굴'로 명문화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기본구상(안)의 골자는 "경복궁과 광화문 앞에서 숭례문까지 이어지는 거리 일대를 전세계에 대한민국을 알리는 얼굴로서 '국가상징 거리'로 조성, 전통과 미래, 지식과 정보가 공존하는 글로벌 코리아의 상징거리로 만드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 일환으로 청와대는 광화문 앞 '광화문 열린마당'과 인근 문화체육관광부 부지(전체 1만5천331.8㎡)에 '현대사박물관'(가칭 기적의 역사관)을 건립하고, 경복궁 동벽 인접 지점에 위치한 국군기무사령부와 대통령 전용병원으로 알려진 국군서울지구병원 부지를 국민에게 돌려주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런 기본구상(안)을 "경복궁을 제대로 복원하는 데 활용하여 민족의 정기를 되살려 나갈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에서 주목되는 대목은 국군기무사령부와 국군서울지구병원의 이전 방침이다. 사실 이 문제는 지난 10년 동안 뜨거운 감자였다. 그 때문에 대통령 외에는 이에 대해서는 아무런 결정을 내릴 수 없다는 것이 지배적인 의견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이 대통령이 마침내 '이전'이란 결단을 내린 것이다. 이들 부지와 건물은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대체적인 방침은 사실 김대중 정부에서 정해졌다. 이를 주도한 사람은 국민의정부 2인자였던 박지원 당시 문화관광부 장관이었다. 당초 박 장관이나 문화부는 이곳을 현대미술관 분관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후 많은 변화와 곡절을 거쳐 이 문제는 제자리 걸음만 쳤을 뿐이었다. 그러다가 "서울대병원이나 신촌세브란스병원 등과 같이 현대식 장비를 갖춘 병원이 많은 데 굳이 대통령 전용병원을 따로 둘 필요가 있느냐"는 이 대통령의 말 한마디로 이 문제는 결판이 났다. 일단 청와대는 기무사와 병원 부지를 "국민에게 돌려주고", "경복궁 지원시설과 주변 문화여건에 적합한 복합문화관광시설 겸 주차장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경복궁을 궁으로서 제대로 된 복원이 가능하게" 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경복궁 내에 있는 주차시설을 모두 외곽으로 빼내겠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구상(안)에 대한 반발 또한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이곳을 국립현대미술관 분관으로 활용하고자 오랫동안 공을 들인 미술계의 반발이 심상치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미술계 요구가 받아들여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병원 건물은 경성의학전문학과 병원 건물(1928년 신축)로서 초기 모더니즘 양식 근대건축물로 평가돼 이미 지난달 3일자로 '문화재'로 등록됐다. 물론 '문화재'는 법적으로 신축 등에 아무런 제한을 받진 않지만, 문제는 이 건물이 국가에서 지정한 문화재이자 국가 소유 문화재란 점에서 건물 외양까지 손을 댈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런 점에서 미술관 분관 설치와 같은 활용 방안은 상당한 제약을 받을 전망이다. 기무사 및 병원 부지를 경복궁 '주차장' 시설이나 복합문화시설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안)도 난관이 도사리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니라 이곳이 경복궁 복원 계획과 긴밀하게 맞물려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이곳에는 국립도서관이자 국책 싱크탱크격인 규장각과 종교시설인 소격서, 감사원 정도에 해당하는 사간원, 그리고 종친부가 있던 곳이다. 이 중에서 종친부 건물은 현재는 정독도서관 구내로 옮겨져 있다. 이 건물을 원래 자리로 이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문화유산계에서는 높다. 더불어 규장각 또한 프랑스 외규장각 도서반환 문제와 맞물려 그것을 복원해야 한다는 요청 또한 많다. 애초에 문화부에서는 기무사와 병원부지를 현대사박물관으로 활용하자는 안을 제시했었다. 이런 구상은 문화부 건물과 광화문 열린광장 부지에 박물관을 짓는 것으로 사실상 결정됐다. 현재의 건물을 비워줘야 하는 문화부로서는 광화문 일대 어딘가에 청사 부지를 물색해야만 하는 입장이 됐다. 어쨌든 다양한 난관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경우건 경복궁은 이제 명실상부한 국가상징물로의 '공인'을 앞두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