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눈덩이…경제에 ‘암초’ _베팅 아카데미 예측_krvip

가계 빚 눈덩이…경제에 ‘암초’ _조앙 에 마리아 카지노 어린이 학교_krvip

가계부채가 급증세를 이어가면서 금융시장 불안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에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고물가,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소비심리가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데다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까지 높아지면서 내수경기 침체의 골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도 2일 국회에서 열린 경제정책포험에 참석해 "가계부채 문제가 우리 경제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 갈수록 약화되는 가계 빚 부담능력 4일 한은이 발표한 `2분기중 가계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개인이 금융기관에서 빌린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660조3천억원으로 전분기에 비해 약 20조원이 늘었다. 외환위기 직전인 1997년 9월말 186조1천억원의 3.5배 이른다. 가구당으로는 약 4천만원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5년 전인 2001년 6월 말(약 2천만 원)에 비해 두 배가 커진 규모다. 여기에 대출 금리마저 오름세를 보이면서 가계의 이자 상환 부담이 함께 커지고 있다. 7월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금리는 전월에 비해 0.19%포인트 높아진 7.12%를 나타내면서 6개월만에 7%를 돌파한 데다 은행들은 주택담보대출에 이어 신용대출 금리도 줄줄이 인상하고 있다. 반면 가계의 채무부담 능력은 약화되고 있다. 가계의 가용소득에 의한 금융부채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개인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비율은 2007년말 현재 1.48배를 나타내 2006년말의 1.43배보다 확대됐다. 이 수치는 2004년말 1.27배에서 2005년말 1.35배, 2006년말 1.43배 등으로 계속 커지는 추세다. 이는 영국(1.61배)보다는 낮지만 미국(1.39배), 일본(1.16배) 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물가 상승으로 가계의 실질소득이 2분기에 뒷걸음질을 쳤다는 점을 감안하면 채무부담 능력을 더욱 약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도미노' 부실 우려도 높아져 가계의 채무 부담이 불어나면서 가계대출의 부실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도 최근 보고서에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최근의 금리 상승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며 "향후 경기침체에 따라 가계소득이 감소하면 은행 대출 연체가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달 한은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가계의 신용위험지수 전망치는 25로 전분기보다 12포인트 상승하면서 2004년 1분기(29) 이후로 4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의 신용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보는 의견이 그만큼 많아졌다는 뜻이다. 6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52%로 작년 말보다 0.03%포인트 떨어져 아직까지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의 90% 이상이 시장금리 변동에 직접 영향을 받는 변동 금리형인 데다 만기가 3년 이내인 단기대출이 많아 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 부담도 빠른 속도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올해부터 이자만 내는 거치 기간이 끝나고 원리금 분할상환에 들어가는 대출 고객이 많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거치기간이 만료되는 주택대출은 올해 18조2천억 원에서 내년 37조7천억 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은행에서 1억 원을 연 7.2%, 15년 만기로 대출했을 경우 3년 거치 기간에는 매달 60만 원의 이자만 내면 됐지만 거치 기간이 끝나면 12년 동안 원금과 이자를 합쳐 평균 103만9천 원을 내야 한다. 거치기간 금리가 크게 올랐다면 매달 내야하는 원리금은 더욱 불어나게 된다. 가계대출의 급증은 주로 부동산가격 상승에 영향을 받은 것이어서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붕괴하면 가계의 몰락과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 경기 회복에도 `암초' 가계부채 문제는 금융부분 뿐 아니라 내수 회복 등 거시경제에도 상당한 걸림돌로 작용하게 된다. 가뜩이나 고물가로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대출자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지면서 내수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금융기관이 연체율 관리를 강화하고 있어 아직까지 부실 징후가 나타나지는 않고 있다"면서도 "다만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고물가로 민간소비가 극도로 부진한 상황에서 가계부채 문제가 가세하면서 부진의 폭이 더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현욱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계부채 우려가 현실화되지는 않았지만 거시경제적인 위험 요소임은 틀림없다"며 "지금처럼 환율이 오른 상황에서 물가가 상승하면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을 고려할 수 있고 시중금리도 추가로 상승할 수 있기에 가계의 채무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런 상황에서 가계부채발 위기를 막기 위해서는 금융회사들이 외형 경쟁을 자제하고 위험 관리에 치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