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근로자 유급병가 도입”…‘건강서울 조성 종합계획’ 추진_브라질 시민 포커 카밀로와 안토니오_krvip

“취약근로자 유급병가 도입”…‘건강서울 조성 종합계획’ 추진_헤드폰 메모리 카드 슬롯_krvip

서울시가 몸이 불편해도 쉴 수 없는 일용직 등 취약 근로자를 위한 ‘서울형 유급병가’를 도입한다.

서울시는 차별 없는 건강권 보장을 위해 2022년까지 '서울형 유급병가 도입' 등 4대 분야 21개 사업에 9,702억 원을 투입하는 '건강서울 조성 종합계획'을 추진한다고 4일 밝혔다.

4대 전략은 '진료비 걱정 없는 건강한 환경 보장(건강 형평성 보장)'과 '서울 어디서든 공공보건의료 인프라 이용(공공보건의료 인프라 균형 배치)', '지역사회 중심 보건의료서비스(예방 중심 연계‧협력체계 강화), '시민과 함께 건강한 환경 조성(민관협치 강화)' 등이다.

2019년부터 도입하는 ‘서울형 유급병가’는 근로기준법상 유급병가 혜택을 받지 못하고 기존 정부와 서울시가 지원하는 긴급복지제도 기준에도 해당하지 않아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다.

서울시는‘서울형 유급병가’제도의 빠른 시행을 위해 모형 개발을 위한 용역을 하고, 이후 보건복지부 등 유관기관과 협의한 뒤 관련 조례를 제정해 내년 도입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산업재해 전문의와 간호사, 노무사 등 전문인력이 상주하는 ‘노동자건강증진센터’를 ‘서울시 노동권익센터’(종로구 율곡로56) 내에 내년까지 조성한다.

서울 시내 산업재해 실태조사를 첫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책도 개발할 예정이다. 자치구 센터도 내년까지 2개소를 설치해 시범 운영하고 취약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대한다.

비장애인에 비해 의료비 부담이 크고 건강검진 수검률이 낮은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장애인 건강검진기관’과 ‘지역장애인 보건의료센터’를 올해 2개소에서 2022년까지 12개소로 확충한다.

서울시는 시립병원과 보건지소를 중심으로 공공의료 인프라를 서울 전역에 균형 있게 확충해 지역 간 건강격차를 해소하고 이용수혜자를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환자안심병원2.0 ▲권역별 시립병원 인프라 강화와 통합브랜드 개발 ▲생활권 보건지소 확충 ▲보건-복지-의료-마을 연계 서울형 건강안전망 구축 등을 추진한다.

또, 생활권역별로 거점 역할을 할 종합 공공병원도 신설되고, 자치구별 보건소와 함께 시민들이 생활권내에서 ‘보건지소’(약 3~4개 동 담당)를 이용할 수 있도록 현재 26개에서 100개까지 늘린다.

보건지소에는 의사, 간호사, 영양사,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등이 상주해 찾아가는 서비스, 찾동 의뢰 환자 지원 등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예방 중심의 찾아가는 보건의료서비스 강화를 위해 찾동-보건소-시립병원이 연결되는 지역사회 건강 돌봄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서울시 마을의사’ 제도를 올해부터 새롭게 도입할 계획이다.

또,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 일원으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보건소 내 전담팀을 2020년까지 전 자치구로 확대하고(현재 17개 구)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전문성을 강화한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