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학, 특허 수익화 시급 _마블 베타레이_krvip

국내 대학, 특허 수익화 시급 _도나 에이코 포커 플레이어_krvip

<앵커 멘트> 우리 대학교수들이 특허를 개인명의로 출원한 사실이 국정감사에서 문제가 되기도 했지만 그 이유는 감시체계가 미흡한 탓 보다는 대학들이 특허를 수익화하는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학의 재정강화를 위해서도 대학이 특허를 관리하고 이를 산업체에 넘겨 로열티를 받는 기술이전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대학들이 보유한 특허를 기업에 넘겨 로열티, 즉 기술이전료를 받는 비율은 17.4%에 불과합니다. 특허 등록숫자도 적지만 그나마 특허 10개 중 8개는 사장된다는 뜻, 우리 대학의 특허 전담인력과 특허 상품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미국 스탠퍼드대학과 MIT 등은 20~30명이 특허를 관리하지만 국내대학 평균은 3.6명에 불과합니다. 연구자 입장에선 불안하게 마련입니다. <인터뷰> 고영회 (변리사): "정말 잘 키워주면 좋지만 그게 안될 적에는 사장될지 모르니까 본인으로서는 분신이나 마찬가지인데 그냥 넘기기에는 참 내키지 않는 면이 많죠." 그 결과 우리나라 모든 대학의 한해 기술 이전 수입료는 80억 원, 미국 컬럼비아대 1곳의 20분의 1에도 못미칩니다. <인터뷰> 백선우 (변호사/서울대 지식재산권관리본부장): "마케팅하고 거래선을 찾아주면서 거래를 만들어야 하는 절차가 있잖아요, 그 두번째 절차에 신경 써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이런 상황에서 국내 대학 최초로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한 한양대는 오히려 예외적인 경우입니다. 소속 교수들의 특허가치를 정확히 평가해 사업화하고, 이익이 나면 다시 새 특허를 발굴함으로써 대학재정을 강화하겠다는 의돕니다. <인터뷰> 이성균 (한양대 기술지주회사 사장): "매년 2~3개 정도의 자회사를 만들어서 2012년에는 12개의 자회사에 총 매출 2천억 원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교수들의 연구의식 고취나 재정 확충은 물론이고 미래의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도 특허의 수익화 시스템 구축은 국내 대학의 최우선 과제가 됐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