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 3곳 이상서 빌린 다중채무 500조 돌파_돈 버는 앱 아이디어_krvip

금융회사 3곳 이상서 빌린 다중채무 500조 돌파_체스와 포커 초커_krvip

3개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들의 빚이 500조 원을 넘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오늘(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최운열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나이스평가정보 다중채무자 분석' 자료를 보면 3개 이상 금융사(대부업체 포함)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보유한 부채가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500조 2천906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다중채무자 부채가 올해 들어서만 18조 8천454억 원(작년 말 481조 4천452억 원) 늘어났다는 의미입니다. 한국은행의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이 고조된 3분기에 들어서도 다중채무자 부채는 7조 1천466억 원 늘었습니다.

9월 말 기준 5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도 103만 6천 명에 달합니다.

금융감독원은 다중채무자의 부채가 금리가 높은 2금융권을 시작으로 부실화한 이후 다른 금융권역으로 도미노처럼 확산하면서 금융시스템 전반을 훼손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려되는 부분은 소득기반이 취약한 청년이나 노년 등 취약계층입니다. 올해 9월 말 기준 다중채무자 가운데 29세 이하는 30만 868명, 60대 이상은 40만 9천433명으로 전체 다중채무자의 16.8%, 6명 중 1명이 청년과 노년층입니다.

이들이 빚을 진 곳 중에 은행을 제외하면 20대는 저축은행(약 13만 명)과 대부업(약 12만 명)이 가장 많았고 60대는 카드사(약 26만 명)와 상호금융(약 17만 명)이 가장 많았습니다. 상호금융을 제외하고는 연 20%대 고금리 신용대출이 주류를 이루는 금융사입니다.

30∼50대 중장년층은 소득 흐름이 상대적으로 좋아 부채를 극복할 여력이 있지만, 청년·노년층은 다중채무가 대출을 받아 다른 대출을 막는 이른바 부채 돌려막기로 이어져 부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상환능력이 낮은 7∼10등급 저신용자도 113만 8천664명에 달했습니다.

한국은행이 지난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취약차주'는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67.6%에 달했습니다. 버는 돈의 3분의 2를 부채를 갚는 데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담보가 없는 이들 취약계층은 고금리인 신용대출을 받은 비중도 일반 차주의 2배에 육박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