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2월 추천 유물 ‘소나무와 학을 수놓은 병풍’ 공개_포커 쿠데타 영화_krvip

국립고궁박물관 2월 추천 유물 ‘소나무와 학을 수놓은 병풍’ 공개_생산하고 돈을 버는 기계_krvip

국립고궁박물관이 2월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선정한 ‘소나무와 학을 수놓은 자수 병풍’을 박물관 1층 상설전시장 대한제국실에서 전시하고,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온라인으로 공개했습니다.

이 병풍은 대한제국 황실에서 실내를 장식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 노안도(蘆雁圖)로 유명했던 화가 양기훈(楊基薰, 1843~1911년)의 그림을 바탕으로 했습니다.

병풍의 9폭과 10폭에는 그림에 붙인 시와 함께 화가의 관서와 낙관까지 수를 놓았습니다. 그림에는 “신 패강노어 양기훈이 공경히 그리다(臣浿江老漁楊基薰敬寫)”란 문구가 있어 고종(高宗, 재위 1863~1907년)에게 헌상하기 위해 제작한 것임을 알려줍니다.

궁중 회화에 화가의 관서(款署)와 인장이 있는 것은 대한제국 시기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으로, 1894년 도화서가 폐지된 후 화원(畫員)이 제작하던 궁중 회화를 일반 화가에게 의뢰하거나 헌상받는 방식으로 조달한 시대 변화를 보여줍니다.

평안도 안주 지역의 자수인 ‘안주수(安州繡)’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이는 병풍의 자수 또한 이 시기 궁중에서 사용된 물품 제작 양상의 변화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조선 왕실의 자수 제작은 궁중의 수방에서 침선 궁녀들이 전담하다가, 19세기 말~20세기 초 각 지방에서 민간 자수가 발달해 전국에 유통되면서 궁중에도 많이 유입됐습니다. 안주수는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제국 황실에서 평안도 지방 관청을 통해 자수 병풍의 제작을 의뢰해 구매하거나 헌상받기도 했습니다. 근대기 황실 사진 중에도 안주수 병풍을 배경으로 찍은 사진이 있어 궁중으로의 유입 양상을 알 수 있습니다.

전시는 인원을 제한하지는 않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수칙을 준수하는 가운데 진행됩니다. 또한,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국립고궁박물관 누리집(gogung.go.kr)과 문화재청과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에서 국·영문 자막과 함께 해설 영상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