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흰코뿔소 뿔 팔아 넘겼나” 국과수 분석 착수_라이브 배팅_krvip

“죽은 흰코뿔소 뿔 팔아 넘겼나” 국과수 분석 착수_블레이즈 위키피디아 베팅_krvip

지난해 8월 서울대공원 우리에서 탈출했다가 사육사들이 진압하는 과정에서 쇼크사했던 수컷 흰코뿔소 코돌이(당시 35)는 죽은 후에도 편안하지 못하게 됐다.

사육사들은 죽은 코돌이를 서울대공원 내 대동물사 부근에 묻고, 뿔과 골격 일부는 표본실에 1년 넘게 보관해왔다.

그러나 지난달 서울대공원에서 시베리아호랑이 탈출로 인한 인명사고가 발생하자 코돌이의 탈출사고도 다시 지적됐고, 관심은 해당 코돌이 뿔의 진위 논란으로 비화했다.

감사에 착수한 서울시는 일부 전문가가 표본실에 보관 중인 뿔과 골격이 코돌이의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의문을 제기하자 확인 필요성을 인정했다.

멸종위기종인 흰코뿔소의 뿔은 국제적으로 식용이 금지돼 있지만 해열·진정부터 항암 효과까지 있다는 속설 때문에 지금도 암시장에서 수억원에 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코돌이의 뿔을 직원들이 빼돌려 수익을 챙기고 사체만 토막 내 땅에 묻은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제기됐다.

결국 서울대공원은 지난 11일 과천경찰서를 통해 국과수에 뿔 2점과 골격, 종 확인을 위한 갈비뼈 1점을 넘겼다고 18일 밝혔다.

서울대공원 관계자는 "동물의 사체를 국과수에 분석의뢰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뿔과 골격이 코돌이의 것임을 믿지만 의구심을 해소하자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국과수에서는 앞으로 10∼15일간 딱딱하게 굳은 뿔과 뼈를 연하게 만드는 작업을 거쳐 DNA를 추출하게 된다.

미토콘드리아 DNA의 특정 부분을 증폭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종을 확인해 해당 뿔이 코돌이의 것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코돌이가 살아있을 때 찍었던 사진의 뿔 부분과 표본실에 보관했던 뿔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분석해 동일 개체인지 맞추는 작업도 병행할 예정이다.

서울대공원 관계자는 "분석에는 약 1개월이 걸린다"며 "분석이 끝나는 대로 뿔과 골격을 다시 표본실에 잘 보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