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실업자 주로 ‘노동시장 재진입·해고’로 발생”_인텔리포커는 믿을만해요_krvip

“장기 실업자 주로 ‘노동시장 재진입·해고’로 발생”_슬롯 전압_krvip

우리나라에서는 노동시장 재진입와 해고 등에 의한 실업자가 주로 장기 실업자가 되는 경향이 있고, 이들의 증가는 주로 구조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오삼일 과장, 박동훈 조사역, 강달현 조사역은 오늘(28일) 발간한 BOK 이슈노트 '실업자의 이질성 분석: 구직기간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구직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직 확률이 낮은 장기실업자일 가능성이 높고, 우리나라는 2014년 이후 장기실업자가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월평균 유입규모를 보면 2006년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단기실업자 유입은 24만 5천 명, 장기실업자는 11만 5천 명으로 추정됐고, 취직 확률은 단기실업자가 53%, 장기실업자가 33.4%로 나타났습니다. 실업기간은 단기실업자가 평균 1.9개월, 장기실업자가 3.0개월이었습니다.

연구팀은 "조사 결과, 장기실업자가 밀접하게 연관된 특성은 실업 사유였으며, 성이나 연령, 학령, 산업 등 기타 특성과 큰 연관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습니다.

구직기간별로 나눠보면 경력 단절 등 비경제활동 인구의 노동시장 재진입 및 해고에 의한 실업자는 구직기간이 1개월 이하인 단기보다, 5개월 이상인 장기에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같은 실업 사유에 의한 실업자는 특히 장기 실업자가 큰 폭으로 유입되는 시기에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노동시장 재진입 혹은 해고에 의한 실업자가 장기실업자가 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그러면서 "필립스 곡선 추정으로 분석한 결과, 장기실업자의 증가는 경기적 요인 보다는, 개별 실업자의 특성과 기술 편향 혁신 등 구조적 요인들에 밀접하게 연관돼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 과장은 "자동화로 인한 중간 관리자 직급의 감소와 노령자 경제 활동 참여 증가로 인한 실업률 상승 등을 구조적 요인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는 자연실업률 상승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어 정책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