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한국 코로나19 접근법 따라할 수 있을까? 아마 어려울 것”_실제 돈을 지불하는 게임_krvip

“영국, 한국 코로나19 접근법 따라할 수 있을까? 아마 어려울 것”_성장 베타알라닌_krvip

한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29일 기준 269명입니다.

반면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27일 기준 3만 7천837명으로 한국의 140배에 달합니다.

한국 인구 5천200만 명은 영국 잉글랜드(5천700만 명)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했을까.

1840년에 창간돼 세계 4대 의학 학술지로 꼽히는 영국의학저널(BMJ·British Medical Journal)은 28일자에 실린 논문 사설(editorials)에서 영국과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방식과 방역 성과를 비교했습니다.

'영국은 한국의 코로나19 접근법을 따라할 수 있을까?-지금도, 아마 앞으로도 어려울 것'이라는 제하의 논문은 영국 임피리얼칼리지 공중보건학과장인 아짐 마지드(Azeem Majeed) 교수와 서용석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함께 썼습니다.

이에 따르면 영국과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의 가장 큰 차이는 한국이 '검사-추적-격리' 전략을 일관되게 추진한 반면, 영국은 이를 중도에 포기했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방역성공에는 정보기술(IT)이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도 내놨습니다.

한국이 신속한 검사 및 접촉자 추적에 초기부터 스마트폰을 활용한 반면, 영국은 최근에서야 잉글랜드 남부 와이트섬에서 접촉자 추적 애플리케이션을 시범 도입하는 데 그쳤습니다.

5월부터 한국 입국자는 코로나19 검사와 14일 자가 격리가 의무화됐지만, 영국은 오는 6월 8일부터 입국자 자가 격리를 의무화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광범위한 마스크 착용을 권고했고, 이제 지하철을 포함한 많은 장소에서 착용이 의무화됐습니다.

충분한 마스크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가 공적 물량을 확보한 뒤 생산과 유통, 분배 전 과정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재난문자,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웹사이트를 통한 투명한 정보 공개, 원격진료와 원격교육을 통한 '사회적 거리 두기',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경험에 따른 신속한 대응 등도 한국의 코로나19 피해를 제한한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습니다.

논문은 특히 코로나19 대응에서 양국 정부가 보여준 접근법이 큰 차이를 불러온 요인으로 지목했습니다.

논문은 "영국 정부는 수리 모델에 크게 의존했고, 과학에 따른 정책을 채택했다"면서 "그러나 이는 오히려 대중의 마스크 착용과 같은 잠재적으로 유용한 정부 개입을 늦추는 결과를 낳았다"고 비판했습니다.

영국은 확실한 과학적 증거가 없다며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지 않은 반면, 한국은 과학적 증거가 불분명하더라도 예방 원리에 따라 신속하게 이를 결정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한국이 코로나19 초기부터 확진자들의 격리를 의무화하고, 위반 시 벌금 등 강력한 제재를 부과한 점이 오히려 영국과 같은 전면적인 봉쇄조치(lockdown)를 피할 수 있는 요인이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