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DPRK 표기’ 신경전 _베타 팀을 구하는 방법_krvip

韓.日 ‘DPRK 표기’ 신경전 _카지노 해변 세계에서 가장 큰 해변_krvip

북한과의 체제경쟁이 치열했던 1970년대 초반 한일간에 북한의 `국호'(國號) 표기를 놓고 미묘한 신경전이 벌어졌던 사실이 외교통상부가 5일 공개한 외교문서를 통해 드러났다. 1970년대 초반은 1968년 `1.21사태' 등 1960년대에 이어 북한의 국지적 무력 도발이 지속되던 상황으로 한국은 물론, 한일간 외교문서에서도 북한은 이른 바 `북괴'(北傀)라는 명칭으로 등장하고 있다. 문제는 일본이 조총련계 인사 등의 북한행이 이뤄지던 1971년 초 여권을 발급하면서 북한에 대한 국호를 `DPRK'(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로 표기하면서 비롯됐다. 당시 외무부는 1971년 3월31일자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보고자료'에서 "최근 일본 여권의 목적지 기재에 있어 북괴지역의 호칭을 DPRK를 사용한 문제에 관해 일본측에 엄중한 항의를 하고 시정을 강력히 요구했다"고 밝혔다. 일본은 이에 대해 "북괴에 대한 승인이나 북한에 대한 일본 정부에 대한 입장변화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정치적으로나 법적으로 북괴구역과의 인적, 물적 교류를 전면적으로 제한할 수 없음을 한국 정부가 이해해 줄 것을 희망한다"고 양해를 구했다. 일본 수노베 아세아국장은 주일 한국대사관의 강영규 공사에게 "여권법 개정에 따라 북괴행 여권의 목적지에 북괴호칭을 단순한 지리적 술어로 사용하기로 결정한 바, 이는 순수한 기술적 및 실제적인 고려에서 취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측은 그러나 1972년 제11회 삿포르 동계올림픽을 앞두고는 올림픽에 참여하기로 한 북한의 호칭문제에서 미묘한 입장변화를 보였다. 강 공사는 1971년 8월25일 일본 수노베 아세아국장을 만나 "북괴 호칭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결정에 따라 `DPR KOREA'로 하기로 되어있는 바 이 것을 개최장소가 일본이라 하여 편의상 일본어로 북괴의 호칭을 소위 `정식호칭'으로 변경한다면 이는 IOC 결정에 위배될 뿐 아니라 중대한 문제가 야기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강 공사의 이같은 발언은 삿포르 동계올림픽에서 북한에 대한 호칭을 IOC의 결정대로 DPRK로 표기해야 하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는 정식 명칭을 일본어로 풀어쓰지 말라는 요청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같은 요청에 대해 수베노 국장은 이날 "잘 알겠다"고 답변했으나 이후 9월17일 면담에서는 "여타 국가의 국명을 일본인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표기하며서 DPRK만을 그대로 표시한다는 것은 어색할 것"이라며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시사했다. 북괴라는 호칭은 1994년 당시 김영삼 대통령과 북한 김일성 주석간의 정상회담 개최 합의 이후 사용이 자제되어 오다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간의 남북정상회담 이후에는 남북 화해.교류 분위기에 힘입어 자취를 감췄다. 1973년 8월8일 `김대중(DJ) 납치사건'과 이듬해 4월 민청학련 사건과 관련해 일본인 2명이 긴급조치 위반 혐의로 구속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남북 등거리외교' 논란도 일었다. 1974년 9월 워싱턴에서 DJ 사건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미일회의가 예정된 가운데 일본 자민당 의원들이 이에 앞서 남북한 동시 방문을 추진하던 상황이었다. 주일 한국대사관측은 1974년 8월6일 한국 방문을 요청한 이시이 하지메 일본 중의원에게 "우쓰노미야 자민당 의원의 평양방문과 이시이 의원의 서울 방문은 일본 여당이 한국과 북괴와의 `등거리외교'를 시도하는 인상을 준다"며 "방한을 인정할 수 없다"고 통보했다. 이에 따라 우쓰노미야 의원은 같은 해 8월 북한을 방문, 김일성 주석을 만났지만 이시이 의원의 방한은 결국 무산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