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환경조사 관행 여전 ‘멍드는 동심’_먼트 댄 켈리 포커 댄_krvip

가정 환경조사 관행 여전 ‘멍드는 동심’_베타노에서 돈을 버는 게임_krvip

<앵커 멘트>

매 학년초 학교에서 소득 수준이다, 부모 학력이다 적어내라고 해서 불편하셨던 기억 가지신 분들 계실텐데요,

과거보다 개인정보수집에 대한 경각심이 훨씬 높아진 요즘에도 이런 관행은 사라지지 않고 있습니다.

이승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해 한 중학교의 가정환경조사서.

부모의 주민번호와 최종학력은 물론 직장명, 직책까지 적게 돼 있습니다.

상중하로 가정형편을 묻는가 하면 생활보호대상자인지, 소년가장인지 여부도 체크하게 돼 있습니다.

<인터뷰> 김 모 씨(학부모) : “불쾌했구요,거꾸로 이런 내용을 가지고 우리 아이를 편견을 가지고 대할 수도 있겠다는..”

감수성이 예민한 학생들은 위화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녹취> “학생 재개발지역이라가지고 빈부격차가 커요. 괜히 열등감 느끼고 그럴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특히 부모의 학력이나 직업에 예민합니다.

<녹취> 학생 : “어떤애 엄마는 대학교수, 아빠는 변호사고 그런데, 그렇지 못한 저같은 애들도 많은데, 누구는 당당하게 써내고, 누구는 써내는 게 되게 싫죠”

60년대 장학금 지급 등을 이유로 시작된 가정환경 조사.

위화감을 조성한다는 지적이 일면서 부모의 학력이나 재산은 조사하지 않도록 했고 지난해부턴 학부모 스스로 필요한 정보를 판단해 적도록 했지마 잘 지켜지지 않습니다.

<녹취> 학교 관계자 : "학교나 교사의 편의죠. 그런 게 싹 조사돼 있으면 집행하는 쪽에선느 간편하잖아요."

2011년 개인정보호법이 시행되면서 동의 없는 정보 수집은 불법이지만 일부 학교 현장의 관행은 바뀌지 않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