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친지에 아이 맡기는 비용 월 평균 50만 원_건축자재 카지노 리오 그란데_krvip

가족·친지에 아이 맡기는 비용 월 평균 50만 원_가상 게임을 이용한 베팅 하우스_krvip

집에서 다른 사람 등에게 맡겨 어린 아이를 돌보는데 드는 비용이 보육시설에 보내는 경우의 두 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 3~4세 아이의 보육시설 이용률이 0~2세의 두 세 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돼 만 3~4세에 앞서 만 0~2세부터 보육료 지원을 확대하고, 보육료 지원 수준이 가정내보육에 대한 양육비 지원보다 높은 현 정부 정책이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소득계층별 출산·양육 행태 분석 및 정책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자녀를 둔 2차 여성가족패널(2008년) 1천838가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보육·교육비를 따로 지출하는 집 가운데 '가정내보육'의 경우 월평균 비용은 소득계층에 따라 ▲하층(소득 하위 30%) 39만원 ▲중층(중위 30%) 48만원 ▲상층(상위 30%) 5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보내는 경우 각각 15만~24만원, 16만~29만원의 비용이 들었다. 가정내보육과 비교해 절반 이하 수준이다. 가정내보육 지출 규모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베이비 시터(보모) 등 도우미 비용이 월평균 약 74만원으로 가장 비쌌고, 가족 및 친지에게 맡겨도 평균 50만원 정도를 대가로 지불하고 있었다. 시간당 보육·교육비를 따져도 ▲고용인(보모 등) 6천995원 ▲어린이집 1천500원 ▲유치원 1천940원 등으로 가정내보육의 부담이 훨씬 더 컸다. 연령별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이용률은 ▲만1세이하 13%(어린이집 11%+유치원 2%) ▲만2세 38%(34%+4%) ▲만3세 64%(51%+13%) ▲만4세 89%(54%+35%) ▲만5세 93%(39%+54%) 등으로 조사됐다. 만 3~4세의 보육시설 이용률이 64~89%로 만 0~2세(13~38%)에 비해 두 세 배 정도 높은 셈이다. 또 엄마가 직장을 갖고 있는 집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이용률은 각각 45%, 35%로 전업주부(33%, 32%) 가정을 웃돌았다. 이 같은 분석 결과만 놓고 보면 올해부터 만 0~2세 보육료 지원(보육기관에 아이를 보낼 경우에 한함) 대상이 기존 '소득하위 70%'에서 '전체 가구'로 확대되는데 대한 가정보육 부모들의 불만에 충분히 근거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복지부가 비난 여론을 반영, 내년부터 만 0~2세 아이를 둔 소득하위 70% 계층까지 가정보육에도 양육수당을 지급한다는 후속 대책을 내놓자 "여전히 소외됐다"며 반발하는 만 3~4세 부모들의 주장에도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심재철 의원(새누리당)도 최근 논평을 통해 "정부의 육아 지원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들이 많은 5세부터 0세로 내려가는 순서로 방향이 잡혀야 함에도 거꾸로 0~2세부터 지원하고 3~4세는 아예 지원을 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3월부터 0~2세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면 소득에 관계없이 보육비 전액(28만6천~39만4천원)을 지원받는데, 같은 0~2세라도 전업주부가 집에서 아이를 기르면 나이에 따라 양육수당으로 (보육비의) 35% 수준인 10만~20만원을, 그것도 소득하위 약 15% 대상자만 받게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복지부 관계자도 "지난해말 국회 예결위에서 만 0~2세 보육료 전면 확대를 전격 결정해 크게 놀랐다"며 "효율성을 따지자면 보육기관에 아이를 보냈을 경우 지급하는 보육료 지원 확대는 만 0~2세보다 만 3~4세에 더 필요하지만 국회 결정이라 어쩔 수 없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