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성장률 2% 초반대로 떨어지면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_마이크로 슬롯의 나노 카드_krvip

“하반기 성장률 2% 초반대로 떨어지면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_베토 카로수 산토 프란시스코 두 술_krvip

우리나라의 올해 하반기 경제성장률이 2% 초반 대까지 떨어지면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오늘(17일) 발표한 ‘스태그플레이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경연은 물가상승률과 실제 국내총생산과 잠재 국내총생산의 차이인 ‘GDP 갭’을 기준으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률은 이미 기준치를 충족했다면서 하반기 성장률에 따라 진입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한경연은 올해 2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4%로 스태그플레이션 기준치인 3.59%를 상회했다고 분석했는데 특히 7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6.3%를 기록하며 하반기에도 이 기준을 충족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올해 2분기 GDP 성장률은 2.9%로 2%대 중반으로 추정되는 잠재성장률을 상회하며 ‘GDP 갭’이 플러스를 기록해 스태그플레이션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하반기에는 성장률이 둔화돼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는데, 물가상승률이 둔화되지 않는 상황에서 성장률이 2% 초반까지 하락한다면 ‘GDP 갭’이 마이너스로 전환돼 물가와 성장률 모두 스태그플레이션 기준을 충족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한경연은 “스태그플레이션은 과도한 유동성이 풀린 상태에서 공급 충격이 가해지면서 발생하는 것”이라며 “유동성 축소가 가장 먼저 이뤄져야 하고 이 과정에서 단기적 경기침체도 감수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초 폴 볼커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통화긴축 정책과 1981년 레이건 행정부의 공급주도 경제정책으로 스태그플레이션에서 빠져나온 사례를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공급주도 경제정책이란 생산성 향상을 통해 비용 상승 요인을 흡수하고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는 비효율적인 재정 지출을 억제하는 것이 주요 골자입니다.

이태규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한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진입한다면 단기적 고통을 감수한 개혁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며 “수요 확대, 재정지출 확대 등에 기댄다면 위기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