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급증…증시 악재 가능성은?_온라인으로 일하면서 돈 버는 방법_krvip

가계부채 급증…증시 악재 가능성은?_바르셀로나와 베티스 최고의 순간들_krvip

저금리 기조 속에 너도나도 은행 돈을 빌려쓰면서 가계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 가계 부채 문제에 대한 경고음이 국내 증시에까지 크게 울려 퍼지고 있다.

가계 부채 급증에 제동을 걸고 최근 치솟는 물가까지 관리하려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한지만, 이 경우 가계의 추가 이자 부담으로 작용해 가계 부채 악화라는 또 다른 ’뇌관’을 건드려야 하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가계 부채 문제에 부담을 느끼는 만큼 급격하게 금리를 정상화할 가능성은 작게 보고 있다.

아울러 가계 빚의 근간을 이루는 부동산 값이 급락할 가능성이 작다는 점을 들어 가계부채 문제가 증시의 방향성을 바꿀 만한 큰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13일 삼성증권과 증권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사상 유례없는 초저금리가 지속되면서 작년 3분기를 기준으로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계대출+판매신용)는 770조원에 달하고 있다.

이중 주택담보 대출액은 전체 가계대출의 약 48%를 차지하는 347조원이다. 2006년 말 39%에서 약 9%포인트가량 비중이 늘어났다.

과도한 가계 부채는 가계의 대출원금 및 이자상환 부담을 지울 수 있고 올해 점진적인 금리 인상 기조와 맞물릴 경우 가계 부실화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한다고 가정했을 때 현재 국내 가계의 이자 부담은 단순계산으로도 약 7조7천억원이 된다.

금융위원회가 전날 가계대출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정부의 종합방안을 오는 3월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도 그만큼 가계 부채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부가 기준금리에 손을 대지 않고 미시적으로 선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하나대투증권 소재용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가계 부채 관련 대책을 살펴봤을 때 가계 부채 문제에 금리 인상을 통해서 보다는 미시적인 정책 수단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며 "분명한 것은 정부에 금리 인상은 1순위가 아니라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가계 부채가 가장 문제가 되는 경우는 주택 가격이 급락하면서 자산 버블(거품)이 빠르게 꺼지는 경우인데, 그런 가능성은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그는 "정부가 주택시장을 망가뜨릴 정도의 규제에 나서진 않을 것"이라며 "여기에다 주택시장 가격이 바닥을 확인한 만큼 가계 부채 문제는 증시에 마찰적인 영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미국이나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도 높고 증가 속도 역시 빠르긴 하지만, 절대적으로 비교해 가계 부채 문제의 심각성을 논하기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실제 한국은행의 가계금융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월 말 현재 우리나라 부채보유 가구 중 1분위 계층(소득이 전체의 하위 20%에 해당)의 부채 보유 비중은 28.8%인 반면 5분위 계층의 경우 75.3%에 달했다. 고소득층의 부채 보유 비중이 높은 셈이다.

또 작년 3분기 기준으로 개인의 금융자산은 금융부채 956조원의 배가 넘는 2천110조원에 이른다.

삼성증권 김진영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시장이 안정화되고 증시가 상승할 경우 가계 자산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가계 부채가 심각한 문제이고 경계감을 늦춰선 안되겠지만, 부채 문제와 함께 자산가치 상승 측면도 균형 있게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부동산 시장도 최근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이는 점을 감안할 때 가계 부채 문제가 단기적으로 증시의 현 추세를 꺾을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