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흡연자 16년 추적…폐암 56%가 흡연 탓_리뷰를 통해 포커를 공부하는 방법_krvip

국내 흡연자 16년 추적…폐암 56%가 흡연 탓_풀 데크 포커 카드_krvip

31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담배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정한 '세계 금연의 날'.

흡연이 인체에 미치는 위해성은 일일이 열거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모르는 사람이 없다. 하지만 사정이 이런데도 정작 흡연인구는 생각만큼 줄지 않는 게 현실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흡연자를 16년간 추적해 폐암 발병률을 관찰한 결과가 처음으로 나왔다. 16년간의 흡연자 추적조사 연구는 국내 최장기간이다.

30일 안윤옥 서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팀이 대한의학회지 4월호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서울에 사는 남성 1만4천533명을 1993년부터 2008년까지 추적조사한 결과, 이 기간 흡연자의 폐암 발생률이 비흡연자의 4배에 달했다.

연구팀은 특히 2009년 우리나라 성인 남성 흡연율 41%를 기준으로 계산했을 때, 성인 남성 폐암 발생의 55.6%가 흡연이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금연할 경우 국내 폐암 발생의 절반 이상을 줄일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이다.

흥미로운 것은 우리나라 흡연자의 폐암발생률은 8년 추적관찰과 16년 추적관찰 결과가 비흡연자의 4배로 비슷했다는 점이다.

이는 영국에서 3만4천여명을 대상으로 20년과 40년을 각각 추적 관찰했을때 흡연자의 폐암 사망위험이 20년째 8배에서 40년째에는 15배로 곱절 가까이 증가했던 것과 대조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한국의 추적 관찰기간이 짧은 이유도 있지만 국내에서는 비흡연자로 분류된 간접흡연자의 폐암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책임자인 배종면 제주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흡연기간이 다른 사람의 폐암 발병률이 같다는 얘기는 우리 사회의 흡연율이 워낙 높아 비흡연자가 받는 간접흡연의 피해가 심각함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며 "국내에서도 법적 장치를 마련해 영국처럼 40년 이상 추적 연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흡연은 이번 연구처럼 폐암에 대한 위해성 외에도 비흡연자에 비해 허혈성심질환에 걸릴 위험을 2.2배 가량 높이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또 뇌졸중에 걸릴 위험은 1.6배 높인다.

이중에서도 하루에 25개비 이상을 흡연하는 여성은 치명적인 관상동맥질환 위험도가 남성보다 5.5배나 높다. 또 심근경색 위험도와 협심증 위험도는 각각 3배, 2.6배에 달한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박창규 교수는 "하루 1~4개비 정도의 적은 양의 흡연이나 간접흡연만으로도 관상동맥질환의 위험도를 2배 이상 증가시키는 만큼 현재로서는 금연 말고는 대안이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