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심리 지원 통합 관리 필요”_베타 테스트 동영상 설명_krvip

“피해자 심리 지원 통합 관리 필요”_목소리로 돈 버는 방법_krvip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 대형 참사가 많았지만 사고 이후 생존자와 피해 가족에 대한 정신적 지원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경우는 없었습니다.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는 중장기적인 심리지원 대책을 약속한 바 있는데요.

피해자들에 대한 평생관리체계,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요?

김세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형 사고 후 겪을 수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국내에 널리 알려진 건 2003년 대구 지하철 참사 이훕니다.

사고 두 달 뒤 생존자 절반이 수면 장애나 불안감을 호소하는 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수치는 더 높아졌습니다.

그러나 당시 의료 지원은 주로 신체적 부상에 집중돼, 정신적 문제에 대해선 소홀했습니다.

<인터뷰> 채정호(서울성모병원 정신과 교수):"사실 정신적 문제들은 장기간 시간이 지난 다음에 나타나는데 추적이 이뤄지지 못한 게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등교가 재개된 단원고…

매일 정신과 전문의 10여 명이 상주하며 학생들을 상담합니다.

여기에 2백명의 전문의도 참여중이지만 대부분 자원봉사 형식이라 한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홍현주(한림대의료원 정신과 교수) :"이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이 필요합니다. 상시적인 인력 교육 시스템과 이 체계를 유지할 수 있는 운영 시스템도 있어야 합니다."

반짝 지원에 그치지 않고 피해자 평생 관리를 돕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각 부처에 흩어져있던 심리지원 체계를 통합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피해가 광범위한 안산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심리 지원 센터를 만들어, 피해자들을 장기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도 응급 정신 의료 지원체계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입니다.

KBS 뉴스 김세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