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일본 서체에 종속…독립 서체 절실” _베팅페어 웹사이트_krvip

“한글 일본 서체에 종속…독립 서체 절실” _슬롯 생체 슬롯 온라인_krvip

대경대 정희원 교수, 다큐멘터리 제작 "우리나라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명조체는 일본에서 개발된 서체입니다" 한글날을 앞두고 한 대학 교수가 한글 서체(書體) 개발의 절박성을 호소하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화제의 주인공은 대경대 방송제작과 정희원(41) 교수. 정 교수는 한국방송위원회의 예산 지원을 받아 최근 50분 분량의 HD(고화질)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글자, 디자인 그리고 혁명-타이포그래피(Typography)'를 완성했다. 정 교수는 이 다큐멘터리에서 훈민정음 반포 560돌을 맞아 개성있고 실용적인 한글 서체 개발의 절박성을 알리기 위해 우리나라와 일본, 영국 등지의 서체 개발 현황을 소개하면서 우리 민족에 잠재되어 있는 서체 디자인에 대한 잠재성을 조명했다. 일본의 경우에는 업종별, 업체별로 다양한 서체가 개발되어 있고 영국에서는 1950년대에 지하철체가 개발돼 전동차 내외부와 지하철역사 알림판 등에 사용되는 서체가 통일성을 갖고 있는데다 `타이포 투어'라는 여행상품도 있어 관광객들이 도심 속의 서체를 둘러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등 국민들이 자연스럽게 서체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공식 문건에는 정음체가, 사적인 문장에는 궁체나 흘림체가 쓰이는 등 역사적으로 서체가 정통성과 개성, 예술성을 인정받았으나 일제의 문화 말살 정책과 함께 한글 사용이 금지되면서 서체 개발도 자취를 감추게 됐다는 것. 정 교수는 또 우리나라 국민들이 신문을 비롯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명조체와 고딕체가 일본에서 개발된 서체라는 사실을 1970년께 인쇄기계 `사진식자기'를 개발, 한국으로 수출한 일본의 인쇄회사 모리사와사에서 확인했다. 일본은 자국의 문자에 맞춰 사진식자기를 개발한 뒤 이를 한국으로 수출하면서 한글 버전으로 바꿨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기술적으로 종속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서체까지 동시에 수입하게 됐고 이 서체가 현재까지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 교수는 현재 일본을 대표하는 스기우라 고헤이(杉浦康平)의 서체가 조선시대 `문자도(文字圖)'에서 모티브를 얻어 개발했다는 사실을 당사자의 육성 증언을 통해 확인하고 우리민족에 내재된 서체에 대한 무한 가능성을 재조명했다. 정 교수는 "현재 한글은 일본에서 개발된 서체에 종속되어있는 실정이어서 이제는 한글 서체의 독립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한편 정 교수가 제작한 이 프로그램은 오는 한글날을 전후로 공중파를 통해 방영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