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뮤지컬 시장 ’위기 신호’…해법은?_포커 날카로운 새봄_krvip

국내 뮤지컬 시장 ’위기 신호’…해법은?_중요한 것은 경쟁하거나 이기는 것이다_krvip

<앵커 멘트>

국내에서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문화 콘텐츠 하면 뮤지컬을 꼽을 수 있습니다.

시장 규모가 연간 3천억 원대로 성장했는데, 최근 고질적인 부실 구조 때문에 위기의 신호가 나오고 있습니다.

유동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여름 서울에서 공연됐던 한 뮤지컬입니다.

흥행이 기대에 못미치면서 배우와 스탭들의 임금은 체불됐습니다.

<인터뷰> 이봉근(뮤지컬 배우) : "거의 70% 이상이 안 들어오다 보니까 안 들어온 지가 벌써 몇 달째니까 카드가 지금 정지된 상태에서..."

시장 규모에 비해 너무 많은 작품이 공연되는데다 톱스타들의 출연료 급상승이 원인입니다.

<인터뷰> 뮤지컬 제작자 : "공연도 많고 유명 배우도 흔해졌어요. 알고 계시는 대형 공연들이 실제로 흥행이 안난 경우가 태반입니다. 실은 적자인 공연이 태반이라는 겁니다."

흥행에 실패한 작품의 적자를 다른 작품을 올려 메꾸는 이른바 '돌려 막기' 관행은 수년째 계속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손실을 함께 책임져야 할 투자자들은 무리한 요구까지 합니다.

<인터뷰> 뮤지컬 제작자 : "뭐 거의 대놓고 원금 보장을 요구하죠. '원금 보장' 플러스 '이자' 이렇게."

업계는 더 많은 투자를 돌파구로 꼽지만 정확한 매출 규모 조차 알 수 없는 시장 구조가 투자를 가로막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민선(CJ E&M 공연사업부장) : "정확한 집계와 매출 그리고 시장이 연도별로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어야지만 투자가 이뤄지는..."

문체부는 투자 활성화와 소비자 편익을 위해 가동하기 시작한 공연 통합전산망에 업계의 자료가 공개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