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노령화 심각, 저출산으로 노동가능인구 줄어_풍부한 수입 앱_krvip

中 노령화 심각, 저출산으로 노동가능인구 줄어_베토 본핌_krvip

'인구 대국' 중국도 고령화 문제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저출산과 노령화 현상이 계속되면서 노동가능인구는 급감하고 부양인구는 급증하기 때문이다.

중국 관영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30일 인민대학교 인구개발연구중심이 발표한 자료를 인용해 중국의 노동가능인구(16~59세)가 2015년 9억1천100만 명(전체 인구의 66.3%)에서 2020년 8억9천600만 명(62.8%), 2030년 8억2천400만 명(56.9%)으로 꾸준히 감소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이에 반해 중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2015년 2억2천200만 명(16.1%)에서 2020년 2억5천300만 명(17.7%), 2030년 3억6천500만 명(25.2%)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무광쭝 베이징대 교수는 "심각한 저출산과 노령화, 남녀 성비 불균형 등으로 인해 중국의 인구구조가 심각하게 왜곡돼 있다"며 "이는 중국의 사회 안정은 물론 경제발전을 해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미국 위스콘신-매디슨 대학 부설 연구소의 이푸셴 연구원도 지난 25일 보아오포럼에서 "중국이 '저출산 함정'에 빠졌다"며 "앞으로 노령 인구가 중국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노동가능인구가 급격히 줄어들면서 중국 경제는 미국을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다른 학자들도 "중국 사회의 노령화는 단순히 '두 자녀 허용정책'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으며, 중국 당국이 경제구조를 기술집약형 산업 중심으로 바꾸고 은퇴한 고령층에게 적절한 사회보장을 제공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중국의 노동가능인구는 2012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5년의 노동가능인구가 2012년보다 2천600만 명 줄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중국의 일부 대도시에서는 벌써부터 노동력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중국 내 최대 제조업 밀집지역인 광둥 성 둥관 시에서는 2015년의 최저임금이 5년 전에 비해 2배로 올랐음에도, 지난해 생산 인력이 20만 명이나 줄어들었다.

무광쭝 교수는 "노동가능인구의 감소와 이로 인한 임금 상승은 노동집약적인 중국 경제에 큰 타격이 되고 있다"며 "특히 완구와 의류 산업의 피해가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