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韓日단체 “한일 공동협의체 만들자”_도박 스캘퍼는 얼마를 벌까요_krvip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韓日단체 “한일 공동협의체 만들자”_아사이로 돈 벌기_krvip

[앵커]

재작년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에도, 피해자들은 일본기업에게 사과도 배상도 받지 못한 채 한·일 갈등이 계속되고 있는데요.

이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한·일 공동협의체'를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습니다.

한국과 일본의 시민사회단체와 피해자 변호인단이 반년 넘게 논의해 내놓은 결과인데요.

자세한 내용을 김채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강제동원 문제 전체의 해결책을 검토하기 위한 한·일 공동 협의체를 만들자."

강제동원 피해자를 지원해온 한국과 일본의 변호사 40여 명과 한·일 시민사회단체는, 어제(6일) 서울과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제안했습니다.

피해자 대리인단은 물론 한·일 양국의 변호사와 학자, 정치·경제계 관계자가 협의체를 꾸려 "일정 기간 내에" 강제동원 문제의 해결책을 내놓자는 구상입니다.

구체적 시한은 못박지 않았지만, 피해자들이 고령인데다 일본 기업 자산에 대한 한국 법원의 강제집행 절차도 예정돼 있어 협의체에서의 논의가 해를 넘길 수는 없다는 입장입니다.

실효성을 위해, 협의안이 도출되면 한·일 정부가 그 결과를 존중해야 한다고도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와 한국 기업 역시 문제 해결의 주체라고 언급했지만, 강제징용으로 인한 인권 침해를 일본 측이 인정하고 사죄하는 데서부터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임재성/변호사/강제징용 피해자 소송대리인단 : "이 문제에 대해서 해결하기 위한 원칙으로, 첫 번째로, 가해 기업과 일본 정부가 '사실 인정'과 '사과'를 해야 한다."]

배상 판결에도 꿈쩍않는 일본 기업들 때문에 피해자 측 대리인단은 자산 강제매각 절차에 들어갔지만, 이마저도 일본 외무성의 서류 송달 거부 등으로 지지부진한 상황.

피해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협의를 거쳐, '강제집행'이 아닌 대안적인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채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