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대기 서버 제대로 작동 못 해…전원 공간도 미분리”_룰렛 카지노 샷 게임 플레이 방법_krvip

“카카오, 대기 서버 제대로 작동 못 해…전원 공간도 미분리”_베트 스윙 영화 다운로드_krvip

정부가 지난 10월 15일 발생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와 이로 인한 부가통신서비스 장애 등에 대한 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SK C&C와 카카오, 네이버에 시정을 요구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6일) SK C&C와 카카오, 네이버 3사에 대해 판교 데이터 센터 화재와 관련해 한 달 내로 주요 사고 원인에 대한 개선 조치와 향후 계획을 수립해 보고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 공간 미분리…배터리 열기로 작동 멈춰”

과기정통부와 방송통신위원회·소방청 조사 결과, 화재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의 지하 3층 배터리실에서 시작됐습니다.

배터리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BMS)이 갖춰져 있었지만, 화재 발생 직전까지 별다른 징후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화재 발생 후 가스 소화 장비도 작동했지만 리튬이온 배터리 특성상 초기 진압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과기정통부는 “SK C&C가 2016년 리튬이온 배터리 설치 이후 현재까지 특화된 방화 조치를 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부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리튬이온 배터리와 물리적으로 완벽히 분리되지 않은 공간에 있었던 점도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천장 공간이 분리되지 않은 공간에 있던 UPS가 화재 열기 등으로 작동을 멈추면서, 일부 전원 공급도 중단됐다는 겁니다.

또한, 물을 뿌려 화재 진화가 필요한 상황에서 2차 피해가 우려되는 구역과 차단 스위치를 빠르게 식별할 수 없어 선별적인 차단 조치가 어려웠던 것으로도 조사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화재 대비 매뉴얼은 있었지만, 살수 상황, 발화 구역 등 실제 화재 상황 수준까지 반영한 세부 대응계획과 모의훈련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SK C&C에 대해 다양한 화재감지 시스템 구축과 배터리와 기타 전기설비 간 공간 분리 등을 요구했습니다.

“카카오, 대기 서버 제대로 작동 못 해…핵심 기능 판교 집중”

최대 127시간 33분간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카카오의 경우 대기 서버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점이 서비스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

판교 데이터센터와 다른 데이터센터를 동작(Active)과 대기(Standby) 체계로 이중화해 동작 서버가 작동이 안 될 경우 대기 서버를 가동하도록 돼 있지만, 이번 사고 시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기 서버를 동작 서버로 전환하기 위한 권한 관리 기능인 ‘운영 및 관리도구’가 화재가 발생한 판교 데이터센터 내에서만 이중화돼 있을 뿐, 다른 데이터 센터와는 그렇지 않아 서비스 장애 복구가 지연됐다는 겁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플랫폼의 이미지·동영상 송수신 시스템 등 일부 서비스 구성 요소가 데이터센터 간에 이중화되어 있지 않은 점도 복구 지연의 원인으로 조사됐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톡, 다음 등 카카오 서비스 대부분의 핵심 기능이 판교 데이터센터에 집중되어 있었다”며 “판교 데이터센터 사고 시 카카오 대부분 서비스가 즉각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라고 진단했습니다.

또, “여러 서비스의 구동 초기 단계부터 필요한 ‘카카오인증’과 같은 핵심 기능도 판교 센터에 집중돼 있다”며 “여러 서비스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 원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에 대해 서비스 다중화와 재난 대비 훈련 등의 조치를 요구했습니다.

과기정통부는 일부 기능에 오류가 발생한 네이버에 대해선 “데이터센터 간 이중화 조치로 서비스 중단은 없다”며 “대부분 기능 오류의 경우 다른 기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복구 우선순위, 복구하는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 등을 이유로 복구에 시간이 걸렸다”고 밝혔습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주요 디지털서비스에 대한 재난대응체계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사업자별 개선방안, 점검결과, 제도개선 등을 종합하겠다”며 “끊김 없는 디지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확고한 디지털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한 달 후 3사가 제출한 개선책과 전문가 등의 법·제도 개선 사항을 반영해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확보를 위한 종합적 개선 방안을 내년 1분기 중 수립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