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우바이오 조대현 사장 _알로하의 질문은 슬롯과_krvip

㈜농우바이오 조대현 사장 _치과에 슬롯_krvip

종자산업 발전 기여 석탑산업훈장 수상 "농업에 있어 종자(種子)는 무기다. 무기를 생산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 바로 종자산업이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한파로 국내 종자생산업체 대부분이 외국자본에 팔려가는 와중에도 외롭지만 당당하게 국내 종자산업을 지켰고 또 지금 지키고 있는 ㈜농우바이오 조대현(61) 사장. 그는 3일 경기도 수원 농촌진흥청의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 개관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종자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석탑산업훈장을 받는다. 생명 무기(?)를 열심히 개발해 받는 훈장에 조 사장은 국내는 물론 해외 농업인과 소비자에게도 감사를 올린다고 밝혔다. 해외 농업인에게도 잊지 않고 감사를 올린 이유는 농우바이오의 최근 수출액이 설명한다. 지난해 무와 배추, 고추, 양배추 등 채소 종자를 팔아 벌어들인 외화가 400만 달러이고 올해에도 이미 10월까지 일본과 중국, 미국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지로 480만 달러의 종자를 수출했다. 내년 수출 목표는 650만 달러. 김치없이 못사는 우리나라에 있어 김치 재료인 무와 배추, 고추 종자의 품질은 세계가 인정하고 있다. 외국계 자본이 국내 종자업체를 합병하며 노린 것도 바로 이들 품종의 종자 생산 노하우이다. 외국자본이 들어오면서 사실상 국내 종자시장은 완전히 개방된 상태라고 조 사장은 설명한다. "국내 종자시장은 완전 개방됐기에 이젠 경쟁력을 갖추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 솔직히 다른 종자업체들이 외국자본으로 넘어갈 때 우리는 민족기업임을 내세워 동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젠 직원들에게 민족기업이란 자부심은 가슴속에만 묻어두라고 한다. 경쟁력 없는 민족기업은 오히려 민족에게 해가 되기 때문이다" 조 사장은 지난 6년 변화된 종자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 온 힘을 쏟았다. 2002년 회사를 코스닥에 상장시키면서 자본 유입에도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농우바이오는 다른 종자업체의 두배가 넘는 전체 매출액의 25% 정도를 연구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거기에 전통적인 멘델식 교잡 육종에 첨단 생명공학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국내 업체로는 유일하게 생명공학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조 사장은 "신품종 개발이라는 것이 순식간에 뚝딱 이뤄지는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투자해온 결과가 앞으로 서서히 나타날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 농촌 현실과 종자산업은 함께 나갈 수 밖에 없다. 농촌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종자 수요는 노동력을 최소화하면서 생산량은 높은 형태로 나아가고 있다. 농우바이오가 개발한 재배와 출하시기가 기존 품종보다 1∼2개월 빠른 '스피드꿀수박', '금싸라기'를 대신해 국내 대표 참외 품종으로 자리잡고 있는 '오복꿀' 등도 이런 요구에 부응해 만들어진 품종들이다. 조 사장은 "애국심에 호소하는 경영은 하지 않지만 우리가 무너지면 대한민국 농업의 출발인 종자산업이 위태로워진다는 의무감은 지니고 일하고 있다"며 "이번 훈장 수상은 그런 의무감에 더 큰 짐으로 작용하겠지만 즐겁게 지고 일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신을 철저한 원칙주의자라고 밝힌 조 사장은 자신과 직원이 개발한 새로운 생명 무기들이 전 세계 토양에 깊이 뿌리박는 그날을 기다리며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