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에 대도시 산재한 아태지역, 온난화에 가장 취약”_외과 의사는 얼마나 벌어요_krvip

“해안에 대도시 산재한 아태지역, 온난화에 가장 취약”_엑스칼리버 베토 카레로 프레젠테이션_krvip

인구가 밀집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향후 수십 년간 기온 상승이나 홍수, 극단적인 날씨 변화 등 지구 온난화에 따른 부작용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쌀 등 작물 수확이 감소하고 산호초가 폐사하는 등 지역 주민들의 생업에도 큰 영향을 미쳐 재정적으로도 수십억 달러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14일 공표된 아시아개발은행(ADB) 연구보고서를 인용해 지구 온난화가 금세기말까지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최악의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했다.

ADB가 독일의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와 공동으로 마련한 기후변화 예측 보고서는 중국 서북부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및 타지키스탄의 여름 온도가 오는 2100년까지 8도(C)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는 한편 아시아·태평양 지역 여러 곳에서 홍수가 빈발할 것으로 예측했다.

ADB의 프리티 반다리 지속가능개발 및 기후변화국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면서 "많은 주민들이 해안지역에 거주하거나, (기후변화의) 타격을 받는 분야에 종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해수면이 1m 상승할 경우 가장 큰 손해를 입게 될 전 세계 주요 도시들 가운데 4분의 3 이상이 아시아 지역에 있으며 이 가운데 필리핀이 7개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향후 수십 년간 홍수로 막대한 재정적 손실을 보게 될 것으로 추정되는 20개 도시 가운데 아·태 지역이 약 3분의 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은 산업중심지인 광저우 등 5개 지역이, 인도는 뭄바이 등 4개 지역이 이러한 피해 예상 도시들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선조치가 없으면 금세기말까지 일부 동남아국의 쌀 수확량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서태평양 지역의 산호초가 폐사하면서 어업과 관광이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