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 고강도 구조조정 나서나_유튜브에서 팔로어를 얻으세요_krvip

금호, 고강도 구조조정 나서나_포커로도 돈을 벌 수 있다_krvip

금융당국과 채권단 등이 27일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조기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은 안갯속에 빠져 있는 대우건설[047040] 매각으로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더구나 금호아시아나가 대우건설의 최종 인수 후보를 발표하지 않고 있는 데다, 2개의 우선협상대상자들 모두 투자자들을 물색하는 데 애를 먹고 있어 매각 자체가 순조롭게 이뤄질지도 미지수이다. 시장에서는 금호아시아나가 구조조정을 차일피일 미루고 시간을 끌수록 유동성 악화로 인한 파장이 눈덩이처럼 커져 국내 금융시장과 경제에 적지 않은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런 이유에서 금호가 보다 이른 시기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채권단 일각에서는 금호아시아나가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서고 그룹 오너가 사재출연 등을 통해 부실 기업에 대한 대주주 책임을 성실하게 이행한다면 구조조정 대상 일부 계열사의 경영권을 유지하는 방안도 나오고 있어 금호 오너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주목된다. ◇금호아시아나 구조조정 시나리오는 당국과 채권단, 증권시장은 금호아시아나가 조기에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나서면 금융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으며, 그룹의 출혈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금융권의 고위 관계자는 "대기업그룹 오너들은 경영을 잘못해 부실기업이 발생했다면 주력기업만 남기고 손, 발(비주력 계열사)을 다 잘라 빚을 갚아야 한다"며 "강제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게 하기 위해 채권 압류 등을 추진하면 금융과 산업계 전반에서 잡음이 생길 수 있는 만큼 그룹 자체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라고 강조했다. 금융당국의 고위 관계자도 "금호아시아나가 대우건설 매각과는 상관없이 어느 정도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며 "금호의 구조조정 영향은 크지 않고 '미풍' 정도의 바람을 일으키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과 채권단, 시장이 요구하는 것은 금호아시아나가 금융권의 차입 등으로 무리하게 인수한 대우건설 등을 시장에 다시 내놓고 대우건설 풋백옵션 상환의 의무가 있는 금호산업과 다른 계열사 중 금호타이어 등의 일부에 한해 출자전환을 추진해 경영권을 채권단에 넘겨야 한다는 것이다. 또 금호아시아나의 오너는 부실 기업 대주주로서, 사재출연 등을 통해 사회적인 책임도 이행해야 한다. 최근 동부그룹도 동부메탈을 매각하지 않는 대신 김준기 회장의 사재 출연과 비핵심 계열사 지분과 부동산 매각 등을 통해 유동성을 마련하는 구조조정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사기업인 금호가 지금까지 해놓은 것은 하나도 없는 상황에서 무리한 인수.합병(M&A)으로 인한 부작용을 은행들만 떠안는 것은 국민 혈세가 나가는 것과 같다"며 "기업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놔둬야 하며 그렇지 않다면 시장 원리대로 처리되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과거 재벌 구조조정은 어떻게 과거에도 현대그룹과 SK그룹, LG그룹 등의 대기업그룹들이 부실이 발생한 계열사를 채권단에 넘기고 어느 정도 수준에서 대주주 책임을 이행하는 절차를 밟아왔다. 실제 대우건설과 대우조선해양, 대우자동차, 현대건설, LG카드 등의 부실 기업들은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출자전환을 통해 경영권이 그룹에서 채권단인 은행권으로 넘어갔다. 이 과정에서 현대그룹 같은 대기업그룹의 오너들은 구조조정 당시에는 책임 이행 정도가 미약하다는 지적을 받기는 했으나 나름대로 대주주 책임을 이행하기 위해 사재를 내놓는 등의 구조조정에 동참했다. 2003년 LG카드 사태 당시 ㈜LG 지분을 담보로 내놓은 LG그룹의 구본무 회장이나 SK그룹 사태 때 워커힐호텔 등 계열사 지분을 SK네트웍스(옛 SK글로벌)에 출연했던 최태원 회장이 사례로 꼽힌다. LG그룹의 경우 카드사태를 초래한 주범으로 꼽힌 LG카드를 채권단에 넘기는 한편 부실경영의 책임을 지고, 그룹 계열사 중 하나인 옛 LG투자증권(현 우리투자증권)도 내놨다. 채권단은 부실로 구조조정 대상이 된 기업들에 대해서는 회생시킨 뒤 '지분 전량 매각'을 통해 새 주인을 찾아주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다만 부실 기업이 구조조정을 거쳐 정상화에 성공하더라도 과거 부실 기업의 주인이던 그룹이 경영권을 되찾는 데는 제약이 따른다. 예컨대 현대그룹은 정상화에 성공한 현대건설의 지분 공개 매각 과정에 뛰어들고 싶어도 부실 책임이 있는 과거 대주주는 인수자로 참여할 수 없다는 여론에 부딪히고 있다. 다만 SK네트웍스로 한 때 그룹 자체가 해체 위험에 처했던 SK그룹은 예외였다. SK그룹은 SK네트웍스를 채권단에 넘겨 출자전환을 추진함과 동시에 오너가 적극적으로 자구노력을 추진했다. 덕분에 SK네트웍스는 조기에 워크아웃을 벗어나는 데 성공했고 그룹은 SK네트웍스의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당시 채권단이 보유 중이던 SK네트웍스의 지분 중 일부만 기관투자가에 팔고 잔여 지분을 보유하면서 SK그룹이 SK네트웍스 경영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던 것이다. 채권단 고위관계자는 "최근 들어서는 구조조정을 추진하더라도 그룹 경영진을 배제하지 않는 추세"라며 "금호아시아나도 부실기업을 채권단에 맡기는 등의 구조조정을 추진한다면 과거 SK 사례처럼 부실기업의 경영권을 유지하면서 구조조정을 추진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