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상한제 전 ‘미분양 줄이기’ 총력 _스트립 포커가 뭐야_krvip

건설업계, 상한제 전 ‘미분양 줄이기’ 총력 _호텔포커 연맹 근처_krvip

최근 건설업계가 '미분양' 공포에 시달리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어쩔 수 없이 분양은 하지만 분양 물량이 늘수록 미분양 가구수도 그에 비례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부 건설사들은 미분양 해소를 위해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거나 미분양을 팔아주는 중개업소에 거액의 수수료를 지급하는 등 대책마련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 분양 할수록 쌓이는 미분양 = 15일 부동산정보업체인 닥터아파트 조사에 따르면 6월말 현재 전국 미분양 가구수는 5만2천여가구로 5만가구를 넘어섰다. 이 중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중소도시와 광역시의 미분양은 최근 2년 8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대출 규제, 분양가 상한제 시행 등으로 청약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업체들이 상한제 적용을 피하기 위해 무리하게 분양을 강행한 탓이다. 실제 지난 5-6월 민간 건설사들은 전국적으로 4만6천여가구를 분양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만여가구 많은 것이다. 계절적 비수기인 올해 7-8월에도 건설사들은 지난해 계획물량 5만3천여가구보다 34%(1만8천여가구) 늘어난 7만1천여가구를 내놓을 태세다. 일부 지방은 수요가 없어 '밑빠진 독에 물붓기'라는 것을 알지만 상한제를 피하기 위해 오히려 인허가 일정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한 건설회사 관계자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미분양을 각오하고 분양을 시작한다"며 "상한제 때문에 할 수 없이 분양은 하지만 미분양 해소책부터 먼저 강구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미분양이 늘면서 건설사들도 신음하고 있다. 얼마전 ㈜신일이 대구, 천안 등지의 미분양 때문에 흑자도산하면서 미분양 공포는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한 중견 건설사 임원은 "미분양이 증가하면 자금순환이 안되고, 회사의 경영악화로 이어진다"며 "덩치가 작은 회사는 한순간에 좌초할 수 있을 만큼 현재의 미분양 증가세는 우려할 만하다"고 말했다. ◇ 건설사 '미분양 줄여라' 총력 = 이 때문에 건설사들은 미분양을 줄이기 위해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나섰다. 값싼 분양가 상한제 적용 물량이 나오기 전에 빨리 파는 것이 가격 경쟁력에서 유리하기 때문에 더욱 서두르고 있다. 대우건설에는 최근 미분양을 줄이라는 '특명'이 떨어졌다. 대우는 타사에 비해 공급량이 많아 미분양 물량도 부산, 천안 등 4천800여가구에 이른다. 회사 관계자는 "계약금과 중도금 납부 조건을 바꿔 초기 자금부담을 완화시켜주거나 1대 1 고객 상담을 위해 모델하우스에 상담원을 추가 배치하는 등 다각적인 대안을 검토키로 했다"고 전했다. 실제 남양주 오남 푸르지오의 경우 지난 주 계약금 20%를 10%로 낮추고, 중도금 무이자 융자 비율을 40%에서 최고 70%로 확대하는 등 계약조건을 파격적으로 변경했다. 천안 푸르지오는 모델하우스 운영 시간을 밤 10시까지로 늘려 퇴근길 고객 잡기에 나섰다. 한라건설은 1년 전 분양한 전북 군산 수송지구 1천114가구의 미분양 해소를 위해 지난 주 학원 마케팅이라는 특약 처방을 내렸다. 단지내 한샘학원을 유치해 입주민들 자녀에게 2년간 무료로 강의해주는 것이다. 회사 관계자는 "중도금 납입조건 개선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해 교육, 학원 마케팅을 쓰기로 했다"고 말했다. 롯데건설은 지난 달부터 가구당 15억-20억원대의 종로구 평창동 고가 아파트를 팔기 위해 인근 중개업소를 판매망으로 끌여들였다. 계약자를 소개해주는 중개인에게는 건당 2천만원의 거액의 수수료를 지급한다. 또 계약금을 5%로 낮추고 총부채상환비율(DTI)에 걸려 중도금 대출이 안되는 사람에게는 중도금 연체이자를 연 13-14%에서 8%로 낮춰주기로 했다. 현진은 최근 완공한 충북 제천 바이오밸리의 입주율을 높이기 위해 집들이 선물로 42인치 PDP TV와 가구당 20인분의 뷔페 식사를 지원하는 등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와 함께 잔금도 입주후 2년에 걸쳐 분납토록 하고, 대출이자를 층별로 차별화해 회사가 1-2년간 대납해주기로 했다. GS건설은 최근 단지내 상가 미분양 해소를 위해 별도 태스크포스팀를 만들었다. GS건설 관계자는 "아파트보다 상가 미분양 적체가 더욱 심각한 상황"이라며 "상가 판매는 물론 펀드를 통한 자금조달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