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비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3.3%…중국의 ‘절반’ 수준”_호텔 플러스 티켓 베토 카레로_krvip

“한국 비메모리 반도체 점유율 3.3%…중국의 ‘절반’ 수준”_로보 트레이더로 돈 벌기_krvip

지난해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일본의 3분의 1, 중국의 2분의 1에 불과한 3.3%에 그쳤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산업연구원은 오늘(3일)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지형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보고서는 지난해 세계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 규모를 총 593조 원으로 집계했습니다.

국가별 점유율을 보면 미국이 323조 원으로 54.5%를 차지해 압도적 1위에 올랐습니다.

이어 유럽(70조 원·11.8%), 타이완(61조 원·10.3%), 일본(55조 원·9.2%), 중국(39조 원·6.5%) 등 순이었습니다.

한국은 20조 원, 점유율 3.3%로 글로벌 반도체 가치사슬 참여 주요국 중 일본과 중국에 이어 최하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한국 비메모리 반도체 매출 총액 151억 달러(약 20조 원) 가운데 삼성전자가 112억 달러(7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LX세미콘 17억 달러(11.2%), SK하이닉스 8억 9천만 달러(5.9%)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연구원은 “세계 비메모리 시장 내 한국의 존재감은 미미하다”며 “수십 년간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 산업 지원 정책에도 판로 확보의 어려움과 높은 세계 시장의 벽을 절감하게 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국가별 경쟁우위와 전략적 위치가 명확합니다.

미국의 경우 집적회로와 함께 PC, 스마트폰이 탄생한 국가로서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및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유무선 통신 및 그래픽처리장치(GPU),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PGA) 등 대부분 시장을 독점하고 있습니다.

유럽은 자동차 및 산업용 로봇 등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및 광학·비광학 센서류에 강점이 있습니다.

일본은 유럽과 비슷하게 자동차, 정밀기계 등 특정수요 대상 MCU, 이산형 반도체 등에 일부 경쟁우위를 보유하고 있고, 타이완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투입 수요가 큰 일부 소자군에 강합니다.

중국은 폭넓은 제조업 포트폴리오에 기반해 다양한 소자 전반에 걸쳐 기업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산업연구원은 미중 패권 경쟁으로 촉발된 ‘반도체 전쟁’ 시대에 우리 정부와 기업이 비메모리 산업 발전을 목표로 자원 투입을 확대하는 상황에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 대한 국가적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산업연구원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