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아시아, 자원강국 아닌 제조업 기지로 주목해야”_마세이오 포커 스튜디오_krvip

“중앙아시아, 자원강국 아닌 제조업 기지로 주목해야”_솔리테어_krvip

석유와 천연가스 같은 자원이 풍부한 중앙아시아가 제조업 생산기지로 떠오르고 있어 새로운 진출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트라(KOTRA)는 오늘(22일) '경제특구를 활용한 기업의 중앙아시아 진출 전략'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의 제조업 육성정책과 우리 기업의 진출 전략을 제시했다.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자원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탈피하기 위해 최근 자국 제조업 육성에 공을 들이고 있다.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각각 10개와 3개의 경제특구를 지정해 외국기업의 자본과 기술력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분위기를 고려해 우리 기업도 제조업 육성을 위한 각국의 정책에 호응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관련 투자전략으로는 경제특구를 활용하는 방안을 내놨다.

중국은 이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정책과 실크로드경제권 구상을 제시하며 이 지역의 인프라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우즈베키스탄에서는 지작 경제특구와 나보이 경제특구를 중심으로 현지 시장 공략을 위한 상품을 생산하고 있다.

카자흐스탄에서도 경제특구 투자에 활발하게 나서고 있다.

보고서는 우리 기업이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할 경우 지작 경제특구와 안그렌 경제특구를 활용해 인접 내수시장 진출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음식료품, 가정용품 등 현지 생산 요구가 많은 제품을 앞세워 내수시장 점유율을 높여가야 한다는 것이다.

카자흐스탄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보다 임금 수준이 높아 일반 제조업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생산하는 게 유리하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특히 아스타나-뉴시티 경제특구를 통해서는 건설장비·건축자재 관련 산업 진출이 유리하다고 덧붙였다.

호르고스-이스턴 게이트 경제특구는 중국과 카자흐스탄을 연결하는 물류 요충지로 물류산업 투자가 유망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