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부채도 ‘불안’…차입금 116조 부실 가능성_내기가 계정을 제한하는 이유_krvip

기업 부채도 ‘불안’…차입금 116조 부실 가능성_재림교회 목사의 수입은 얼마입니까_krvip

올해 상반기 부실 위험에 노출된 국내 기업의 차입금이 116조 원에 육박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6% 급증한 것이다. 가계에 이어 기업의 건전성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LG경제연구원 이한득 연구위원은 9일 '유로존 위기에 발목 잡힌 국내외 기업 상반기 실적 부진 뚜렷' 보고서에서 "상반기 기업 영업성과가 부진하고 차입금이 늘면서 부채상환능력이 악화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위원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619개의 비금융회사를 대상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 이하인 기업을 분류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보다 적은 기업은 영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을 지급하지 못하는 상태다. 부실화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이다. 올해 상반기 이러한 부실위험 기업의 차입금 규모는 116조 원에 달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88조 8천억 원에서 30.6%나 증가했다. 부실위험 기업의 차입금은 분석대상 상장기업 전체 차입금의 36.3%를 차지한다. 이 연구위원은 "부실위험 기업의 숫자 비중(26.5%)보다 차입금 비중이 높다"며 "차입금이 많은 기업이 부실화 가능성이 큰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유로존 위기 장기화로 기업의 성장ㆍ수익성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상반기 국내 상장기업의 전년동기대비 매출증가율은 3.7%로 지난해 상반기 (10.3%)의 3분의 1수준으로 추락했다. 영업이익률도 같은 기간 5.3%에서 4.3%로 감소했다. 상장기업의 평균 이자보상배율은 작년 상반기 4.4배에서 올해 3.0배로 하락했다. 이자보상배율이 1배 미만인 부실위험 기업의 비중 역시 22.0%에서 26.5%로 확대됐다. 1년 이내 만기가 돌아오는 단기차입금 의존도도 심하다. 올해 상반기 단기차입금 비중은 77.1%로 지난해(78.0%)보다 소폭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경기 악화로 금융회사가 회수에 나서면 상환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 연구위원은 "올해 들어 빠르게 악화한 국내 기업의 실적이 추가 악화하거나 상당기간 부진할 가능성이 크다"며 "원가절감을 통한 내부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시장 불안 등 급변사태에 대한 위기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