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병원 응급센터, 생물학적 재난 무방비 _이투이우타바의 포커클럽_krvip

국내 병원 응급센터, 생물학적 재난 무방비 _계좌 개설 브라질 라이브 포커_krvip

국내 병원 응급의료센터(응급실)가 생물학적 재난에 대비한 구호장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응급 구호장비조차 제대로 갖춰놓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물학적 테러나 대형 감염사건 등이 발생했을 때 되레 응급실에서 2차적 감염 등의 우려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부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응급의학과 임경수 교수(아.태 재난의학회 회장)는 지난해 전국 120개 응급의료센터 중 설문에 응답한 90개 센터를 대상으로 개인보호장비 보유실태 및 생물학적 재난 대처계획 등을 조사한 결과 상당수에서 재난 대처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미국 보건의료연구소(AHRQ)의 생물학적 재난 평가자료와 감염관리협회(APIC)의 대량 환자 재난계획 지침서를 준용해 이뤄진 것으로 결과는 대한응급의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90개 응급센터 중 10개소(11.1%)만이 개인보호장비를 갖추고 있다고 답했다. 그나마 규모가 큰 권역ㆍ전문 응급센터는 장비 비축률이 37.5%에 달했지만 지역응급센터는 5.4%에 그쳤다. 오염원을 제거하기 위한 습식 제독장비(wet decontamination set)를 보유하고 있다고 응답한 응급센터는 7곳(7.8%) 뿐이었다. 지역응급센터의 경우는 제독장비를 갖춘 곳이 하나도 없었다. 제독장비는 현장에서 제독이 되지 않은 채 응급센터에 도착할 경우 독소에 의한 2차 감염 위험이 있기 때문에 옷을 벗기고 샤워하는 형태의 `습식제독'이 필요하다. 과거 일본 도쿄에서 발생했던 사린 신경가스 사건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제독을 하지 않고 바로 병원에 이송되면서 2차 오염을 유발했었다. 생물학적 재난에 대비해 따로 비축한 `기계환기기'가 있다고 응답한 응급센터는 15곳(16.7%)에 불과했다. 반면 3대 이상의 기계환기기를 비축한 응급센터는 4곳이었다. `기계환기기'는 기계적으로 사람의 체내에 환기를 시켜주는 인공호흡기 등 장비를 말한다. 이밖에 `오염물 수거통'을 비치한 응급센터는 9곳(10%) 이었으며, 독립된 환기시스템을 갖춘 비율도 12.2%(권역ㆍ전문 31.3%, 지역 8.1%) 수준이었다. 격리병상 비축률은 33.3%로 다른 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대부분 병상 수가 적었다. 일반적인 응급의료 시설 및 장비에 대한 조사에서도 `비상용 들것'이 있다고 응답한 응급센터가 90개 중 34곳(37.8%)에 불과했다. 유형별로는 권역ㆍ전문 응급센터가 11곳(68.8%), 지역응급센터가 23곳(31.1%)으로 분석됐다. 또한 39곳(권역ㆍ전문 9곳, 지역 30곳)의 응급센터가 대체구역(alternative care site)을 설정해 놓았지만 대부분(32곳)은 서면 상의 계획일 뿐이었으며 환자의 중등도 분류표를 비치한 응급센터는 38곳(42.2%)에 불과했다. 생물학적 재난에 대비해 서면으로 된 재난계획을 갖추고 있다고 응답한 곳은 90개의 응급센터 중 49곳(54.4%)이었지만 대부분의 응급센터(46곳)가 형식적인 지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와 함께 42개 응급센터(46.7%)가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것에 대한 지침을 갖추고 있었지만 이중 90% 정도가 신고방법, 전원할 병원의 연락처, 이송시 구급차의 특수 준비 등이 없는 형식적인 지침으로 분류됐다. 개인보호장비 착용에 대한 교육이 시행된 응급센터도 16곳(17.8%)에 불과했는데, 그나마 훈련도 이론강의이거나 1회성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재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비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체예산이 부족하기 때문'(73.3%) 또는 `정확한 지침 부족'(16.7%) 등의 답변이 많았다. 하지만 응급센터 책임자 중 76.7%는 특수재난에 대비해 최소한의 준비는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전체의 55.6%는 향후 새로운 감염성 질환의 출현 가능성을 50% 이상이라고 답변했다. 임경수 교수는 "이번 조사결과 대부분의 응급센터에서 생물학적 재난에 대한 준비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드러난 만큼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아직까지 병원 등의 의료기관에 대한 재난 대비 규정과 지침이 없는 만큼 향후 전문가들이 나서 생물학적 재난에 대한 통합적인 계획을 세우고 이 과정에서 예산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