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땐 제일 빨랐는데…” 전보, 138년 만에 역사 속으로_브라질 월드컵에서 우승한 사람_krvip

“한땐 제일 빨랐는데…” 전보, 138년 만에 역사 속으로_둘을 위한 빙고 게임_krvip

[앵커]

요즘엔 휴대전화나 SNS 등으로 소식을 바로 바로 전하는데요.

집집마다 전화기가 없던 시절에는 급한 소식을 전할 때 가장 빠른 연락수단이었던 '전보'를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이용률이 떨어지면서 오늘이면 역사속으로 사라진다고 합니다.

138년 만입니다.

신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타자 치는 소리가 가득한 전신국.

직원들이 분주히 받아적는 글, 전봅니다.

["받는 분 성함이?"]

국내에서 전보 서비스가 처음 시작된 건 1885년.

전신기로 전보를 치면, 받는 사람 주거지와 가장 가까운 우체국에서 배달해줬습니다.

가정에 전화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까지는, 일반 국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연락 수단이었습니다.

한국 전쟁의 휴전 소식을 전달한 것도 전보였습니다.

[故 송해/KBS '대화의 희열' 중/2018년 : "휴전 전보를 내가 쳤지.1953년 7월 27일 밤, 22시를 기하여 전 전선의 전투를 중단한다..."]

글자 수에 따라 요금이 매겨지다보니, 이른바 '전보체'가 유행하기도 했습니다.

'기쾌유', '부친상경', '조부위독급래'처럼 최대한 글자 수를 짧게 줄여야 했습니다.

[명연례/서울 종로구 : "전보는 생사가 오가는 일이야. 한 자에 50원씩 하니까 숫자를 줄여가지고 그렇게 전달을 했죠. 그때는 50원도 굉장히 커서..."]

이후 전화기와 스마트폰 시대를 거치며 전보 수요는 급감했습니다.

축하 메시지 용도로 명맥을 이어오다, 이젠, 서비스 자체가 생소해졌고, 오늘, 공식적으로 종료됩니다.

[장광덕/서울 영등포구 : "애절한 생각이 안 들 수가 없어요. (전화가 귀하던 시절) 유일한 통신 수단이었기 때문에 옛것이 사라진다고 했을 때 그 쓸쓸함도 있는 것이죠."]

한 때 가장 빠른 소통 수단이었던 전보는 이제 138년의 추억을 남기고 역사가 됩니다.

KBS 뉴스 신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