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 46.8살…2050년에는 53.7살 예상_주사위 사다리 포커_krvip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 46.8살…2050년에는 53.7살 예상_베토 카레로 사진 촬영_krvip

저출생 고령화 현상 심화로 2050년 국내 취업자 평균 연령이 약 54살까지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부문별 취업자의 연령분포 및 고령화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22년 우리나라 취업자 평균 연령을 약 46.8살로 추정했습니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를 바탕으로 현재 성별·연령별 고용률이 유지된다는 가정하에 취업자 평균연령을 구한 결과, 2030년대에 50살을 넘고 2050년에 53.7살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OECD 국가의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예상치 43.8살보다 10살가량 많은 수준입니다.

최근 고령층 경제활동 참가율이 높아지고 저출생이 심화하는 추세를 고려하면 취업자 고령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를 가능성도 있다고 상의는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산업별 전체 취업자 중 50살 이상 비중은 제조업에 속한 산업 중 의류(59.8%), 가죽·신발(59.6%), 목재(57.3%), 섬유(52.6%) 등 이른바 저위기술 산업에서 절반을 넘었습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67.8%)과 사업지원(57.1%) 저부가가치 업종에서 50살 이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반면 의약(15.7%), 정보통신(16.8%), 전자·컴퓨터·통신기기(18.2%), 전문 과학기술(23.8%) 등에서는 고령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지역별로 50살 이상 취업자가 절반 이상인 곳은 전남(58.7%), 경북(55.2%), 전북(53.9%), 경남(51.7%) 등이었습니다.

반면 서울(38.5%), 인천(42.6%), 경기(41.7%) 등 수도권과 대전(41.4%), 세종(34.5%) 지역은 상대적으로 50살 이상 취업자 비중이 작았습니다.

그러나 수도권과 대전·세종 등에서도 서울을 제외하면 고령층 취업자 비중이 지난 10년간 10%포인트 이상 빠르게 증가했습니다.

상의는 "경제·산업 패러다임이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등 무형자산 중심으로 전환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젊은 기술 인재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공급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고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른 업종에서 젊고 양질의 노동력 공급이 줄어들면 국가 전체 생산성 향상에 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게티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