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62% 이직 경험…절반만 만족” _내기 이야기_krvip

“직장인 62% 이직 경험…절반만 만족” _포커 패의 승리를 알려주는 앱_krvip

서울에 사는 직장인 중 62.2%는 이직경험이 있지만, 이들 중 절반 정도만 이직후 직장에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직장인의 이직과 기업의 대응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서울에 사는 20∼40대 직장인 357명을 대상으로 직장인 이직실태에 대한 조사를 벌인 결과 전체 응답자의 62.2%가 이직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직자 중 직장에 만족한다고 응답한 사람은 48.4%에 불과했다. 이직후 직장의 만족도를 업종별로 보면 공기업이나 공공기관, 제조업의 만족도는 각각 76.9%, 63.7%, 52.2%로 높았던 반면 일반서비스업이나 전문서비스업은 각각 45.1%, 40.4%로 낮았다. 이직한 사람들은 이직후 불만의 이유로 업무내용(40.6%), 계약조건과 다른 근무조건(31.3%), 조직문화의 부적응(18.8%) 등을 꼽았고, 이직후 불만족스럽다는 응답자 중 14.1%는 전 회사가 복귀 요청을 한다면 수락하겠다고 답했다. 이직한 사람들은 이직의 이유로 '경력을 쌓을 수 없어서'(35.8%), '연봉 불만 때문에'(21.1%), '자신의 역량보다 낮은 평가를 해서'(20.2%), '상사나 동료와 불화'(11.5%) 등을 꼽았으며, 전반적으로 연봉보다는 경력계발에 도움이 되는 기업을 선호했다. 이직자들의 54.5%는 전 직장보다 급여를 많이 받고 있었다. 이직자들은 이직의 성공요인으로 직무경력을 55.5%로 가장 중요하게 꼽았고, 인맥(18.0%), 직종관련 자격증(15.6%), 학력학위(6.2%), 어학실력(4.7%) 등을 꼽았다. 이직한 사람들은 이직시 전 직장에서 무대응(39.3%)으로 일관하거나 연봉인상(26.2%) 등 단기적으로 대응했고, 전체응답자의 61.6%는 현 직장에 사원들의 이직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없다고 말했다. 이철선 연구위원은 "교육 등 다년간 기존인력에 투자한 비용을 고려해 본다면 인력의 이탈은 분명 기업의 경쟁력 악화요인"이라며 "하지만 기업들은 장기적인 이직방지 프로그램이 부족해 단기적으로 대응하고, 프로그램이 있어도 자기계발보다는 금전적 보상에 치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은 "공기업과 공공기관으로 이직한 사람들은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일반기업들은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도 문제"라며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은 직원복지나 경력계발프로그램 등의 지원도 일반기업보다 많기 때문에 향후 공기업이나 공공기관 선호도가 높아져 일반기업의 우수인력 유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우려했다. 연구원은 기업들이 이직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적 분위기 조성 ▲재충전 유도 ▲자유로운 근무환경 조성 ▲조직내 차별 없애기 ▲마음놓고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 ▲자기성장의 기회 보장 ▲직원들의 스트레스 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은 특히 이직방지를 위해서는 기업의 경력개발 프로그램 도입, 경영진과 직원간 직접 소통을 할 수 있는 창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