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회사 해외부동산 ‘잠재부실’ 2.4조…“감내 가능한 수준”_오늘은 프랑스가 승리했습니다_krvip

국내 금융회사 해외부동산 ‘잠재부실’ 2.4조…“감내 가능한 수준”_부드러운 플라스틱 포커 칩_krvip

미국 상업용 부동산 발 투자 손실 위기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국내 금융회사들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에서 2조 4,000억 원에 달하는 잠재적 부실 위험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오늘(22일)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현황’을 집계해 공개했습니다.

이번 달 기준 기한이익상실(EOD), 즉 대출 만기 전 자금 회수 요구가 발생한 투자액은 모두 2조 4,600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금감원은 다만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했다고 해서 전액 손실이라고 할 수는 없으며, 투자자 간 대출 조건 조정이나 만기연장 등을 통해 해결하거나 자산 매각 시에도 배분 순위에 따라 전액 또는 일부 투자금 회수가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56조 4,000억 원으로 금융권 총 자산(약 6,800조)의 0.8% 수준이었습니다.

업권별로 보면 보험이 31조 9,000억 원(56.6%)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은행 17.9%(10조 1,000억 원)·증권 8조 4,000억 원(14.9%), 상호금융 3조 7,000억 원(6.6%) 등의 순입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의 해외부동산 대체투자가 34조 5,000억 원, 전체의 61.1%로 가장 많았고 유럽이 19.2%(10조 8,000억 원)로 뒤를 이었습니다.

이 가운데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12조 7,000억 원 수준이며, 내년에 추가로 15조 원 규모의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병칠 금감원 전략감독 부문 부원장보는 “해외부동산 가격이 하락하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최근 들어 낙폭이 줄거나 가격 조정이 마무리되고 있다는 의견도 있다”며 “국내 금융회사들의 자본력을 고려하면 앞으로 추가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충분히 감내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금융회사가 보유한 해외부동산 대체투자에는 포함돼 있지 않지만, 해외부동산 공모펀드를 통해 투자한 개인들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금감원에 따르면 임대형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공모 펀드는 2조 3,000억 원 규모로, 이 가운데 1조 9,000억 원 정도는 개인 투자자들이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병칠 부원장보는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8개 펀드 가운데 1개는 배당유보 상태로 일부 투자자들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부 펀드에서 손실 발생과 관련된 민원이 접수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손실 발생 가능성이나 만기가 임박한 상황에서 펀드의 향후 처리 방향에 대한 충분한 공시가 있었는지 등을 향후 조사를 통해 확인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