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용은 강제노동 아니다” 日 주장 확산에 제동_궨트 배팅_krvip

“징용은 강제노동 아니다” 日 주장 확산에 제동_포키 레이싱 카 게임_krvip

한국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피해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역사를 왜곡·희석하는 일본 내 움직임에 대항하는 적극적인 견제 조치다. 패전 70년이 지나면서 일본에서는 한국을 식민지 지배한 것이 가해행위였다는 인식이 급격히 줄고 있다. 최근 미국인 포로에게 사죄한 미쓰비시머티리얼 측의 한 인사가 징용에 관해 '기본적으로 일본인 노동자와 한국인 노동자를 같은 조건, 같은 장소에서 받아들였다', '민간은 이를 사죄할 필요가 있다고 좀처럼 생각할 수 없을 것'이라는 취지로 언급한 것에서 실상을 엿볼 수 있다. 전후 70년을 맞은 일본에서는 전쟁의 실상을 기록하고 후대에 전하자는 움직임이 활발하지만, 원폭·도쿄 대공습·오키나와 전투·전쟁고아 등 자국민이 겪은 괴로움에 주로 초점이 맞춰져 있다. 물론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타국에 끼친 손해와 고통을 기억하려는 노력도 있다. 그러나 가해국인 일본이 이런 시도를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이런 가운데 피해국인 한국이 세계기록 유산 등재로 관련 자료를 국제사회와 공유하는 것은 역사 인식의 편향을 견제하고 균형을 잡으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일본이 패전 직전 전쟁에 대한 책임 추궁을 피하려고 공문서를 대량 소각했고 세월이 지나면서 많은 자료가 훼손·멸실됐다는 점에서 33만6천여 건에 달하는 자료가 지닌 기록물로서의 가치는 더욱 크다. 이들 자료는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가 11년간 조사한 내용과 한국전쟁 후 일본과의 협상을 위해 당시 한국 정부가 생산한 문서, 피해자가 강제동원 중에 확보한 자료, 일본 정부가 전쟁 중 생산한 사진, 문서, 명부, 일본 기업이 만든 기록, 제3국 문서 등을 망라한다. 특히 피해자·가족·지인 등의 증언을 담은 구술자료는 공문서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식민지배와 전쟁의 참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들 기록은 강제동원의 실상을 피해자의 시각에서 재구성하며 '조선인 동원이 국민징용령에 따라서 이뤄졌으므로 합법'이라는 일본 주장이 역사적 진실과 동떨어진 것임을 분명히 보여준다. 강제동원 관련 자료가 세계기록유산이 되면 역사를 왜곡하는 일본 측의 주장이 확산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외무성은 '징용은 강제노동이 아니다'는 주장을 세계 각국에 있는 자국 대사관과 총영사관 등을 통해 홍보하기로 최근 방침을 정하는 등 징용 시설의 세계유산 등재로 논란을 일으킨 역사 인식을 확대·재생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부 세력은 '강제 연행을 인정할 수 없다'며 일본 각지에 설치된 징용 조선인 추도비의 철거나 '강제연행' 문구의 삭제마저 요구하는 실정이다. 이른바 '가미카제(神風) 자살특공대'의 유서를 세계기록유산을 신청하려고 하는 시도까지 있어 한국 정부 안팎에서는 일본의 공세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대항(對抗) 등재'가 어떤 식으로든 진행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런 의미에서 강제동원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는 것은 일본의 자의적인 역사 해석에 대한 적극적인 반론이며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피해국이 이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