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환자 받느라”…치료 받을 병원 없어진 노숙환자_스 트롯 위치 트_krvip

“코로나19 환자 받느라”…치료 받을 병원 없어진 노숙환자_카지노 도박 미국_krvip

갑자기 열이 나거나 근육통이 생겼다면 거리 곳곳에 자리 잡은 각종 병원에 눈이 갈 겁니다. 건강보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증상에 맞는 병원을 찾아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급여 항목 중 내게 맞는 치료법을 추천받고 고를 수도 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너무나 쉽고 당연한 이 과정이 막힌 사람들이 있습니다. 바로 노숙인들입니다.

"가려던 시설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돼 진료 포기"

서울 용산 텐트촌에서 4년째 노숙을 하는 40대 김 모 씨는 2018년 1월 이후 병원을 가지 못했습니다. 팔과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심해져 일을 할 수 없었고 경제적인 어려움도 겪어야 했습니다. 지난 2월, 김 씨는 치료를 위해 병원을 오가는 교통비 등 부대 비용을 모두 마련했습니다. 하지만 진료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김 씨가 찾아가려 한 국립중앙의료원이 코로나19 환자만 받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됐기 때문입니다.

서울의 노숙인들이 찾아갈 수 있는 종합병원은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해 6곳입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이 가운데 5곳이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지정되면서 노숙인들이 찾을 수 있는 종합병원은 사실상 서울시립동부병원 하나만 남았습니다. 반강제로 진료를 포기하고 있다는 말도 나옵니다. 물론, 평소에도 병원 가기는 쉽지 않았습니다. 아프면 지정된 센터에서 진료 의뢰서를 받은 뒤 지정된 시설을 찾아가야 하는데, 노숙인에겐 병원에 가는 교통비를 마련하는 것도 어려운 일이기 때문입니다.

"감염병 확산 계기로 공공의료 체계 점검해야"

감염병 확산으로 노숙인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5년 메르스 확산 때도 노숙인들은 다니던 시설이 거점 병원으로 지정되며 진료를 포기해야 했습니다. 입원해 있던 노숙인들은 옮길 시설을 찾지 못해 강제 퇴원을 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의료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도록 공공의료 체계를 점검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김석연 서울시립동부병원장은 "병원 간 역할분담이 중요하다"며 "중증환자는 대학병원, 경증환자는 시립병원, 나머지 환자들은 치료시설, 노숙인을 비롯한 취약계층은 공공병원으로 나누는 역할분담만 확실히 된다면 병원 수를 늘리지 않고도 의료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플 때 찾아갈 수 있는 병원이 한 군데뿐이라면 누구라도 곤란할 겁니다. 김 씨는 "정부나 지자체가 연계만 해준다면 내가 사는 자치구 안에서 전문 병원을 정기적으로 다니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누군가는 골라가지만, 누군가에겐 선택지도 없습니다.

▶ ‘ 코로나19 현황과 대응’ 최신 기사 보기
http://news.kbs.co.kr/news/listIssue.html?icd=19588